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40년대 윤명재씨가 제작한 개인 앨범에 게재된 동학사 전경 사진이다.
2010 계룡산 산신제 민요축제한마당 (4)
1999년 5월 보룡초에서 진행한 현장학습 중 도서관으로 향한 학생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1971년 무령왕릉 발굴 작업 당시 묘실 내부 동남편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옥룡동에 위치한 공주 맛집 황해도손만두국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조선말기의 학자이자 항일운동가인 성암 이철영의 생가 터인 중동서재 터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2005년 5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침례교회 사회사업부 영민사 직조 공장 창업 기념 단체사진으로, 직조 공장 사업은 이봉래 전도사(1952~1954년 시무)를 주축으로 공주시 계몽과 복지를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맨 위 왼쪽에서 일곱번째에 검은 양복에 넥타이를 착용한 인물이 이봉래 전도사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돌은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으로 1976년 6월 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이 곳에는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을 도읍 후보지로 결정하여 도로 건설…
고마나루 명승길(웅비탑-정지산-황새바위)⑳ 그 길들의 틈새에 텃밭이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진행된 정안초등학교 환경정비작업 모습이다. 본 자료는 교문을 정비한 모습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장선리 토실 유적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에 있다. 장선리 토실유적은 2001년 9월 11일 사적 제433호로 지정되었다.
1957년 주한미국대사와 공주를 방문한 이승만 대통령 내외의 모습이다.
중동에 위치한 맛깔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제12회 백제문화제 사진이다. 백제문화제 중 학생들의 합창경연대회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여자부 학생들이 실습 시간에 과수원에서 과실에 종이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공주영명실수학교의 실습지는 오늘날 옥룡동 대추골 일대에 위치했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