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박물류
전체 859건
1980년대 충청남도 지역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시내버스 경로승차권의 모습이다. 충청남도 지역에서 사용된 승차권 임에도 불구하고 배경에는 경복궁 경회루로 추정되는 장소가 삽입되어 있다.
송강 지명연 씨가 임진년(2012년 추정) 새해에 휘호한 작품으로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歲在壬辰 吉祥如意
임진년의 해, 생각한 것이 모두 길하고 상서롭기를

蘭在幽林亦自香
그윽한 숲 속의 난초는 또한 스스로 향기를 낸다. (or 홀로 향기롭다.)
신원미상의 필자가 휘호한 초서 작품이며, 그 중에서 흘림의 정도가 심한 광초(狂草) 작품이다.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와 이인면 읍내의 항공사진이다. 부여로 향하는 40번 국도의 모습이 잘 드러나며 사진 하단으로 보이는 이인면 읍내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1916년 3월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고적조사도보에 수록된 부여 부근의 백제유적분포도이다.
공주시민모임생각나무가 주최하여 저녁7시 공주학연구원 2층 고마나루실에서 열린 강좌를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아주대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자, 전 국립공주병원장인 이영문 교수가 강의를 진행하였다.
공주형무소의 전반적인 형태를 살펴볼 수 있는 배치도로 추정된다. 공사명칭은 배치도이며, 생산년도는 소화 3년도라고 작성되어있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2-086
공주 장기면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장기양조장의 태그이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29
공주여사범학교 기숙사 증축과 관련된 배치도이다. 해당 도면에는 기숙사 증축공사 부지에 관한 배치정보와 건축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표가 기재되어 있다.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우성면 죽당리 금강변의 모습이다. 당시 금강 둔치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보룡초등학교 교무실에서 사용하던 각종 인장을 모아서 촬영한 것이다.
1950~60년대 초 공주읍 중동 147번지에 소재한 공만간장의 광고라벨이다. '충남 공주 공만장유공장'이라 적혀있으며, 사장의 이름은 이태규로 적혀있다.
대정 2년(1913)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시가도이다. 해당지도에는 1910년대 당시 공주시가부분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73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30
공주여사범학교의 화장실 수선공사와 관련된 도면으로 추정된다. 해당 도면에는 건축일람표가 중앙 상단에 표기되어 있으며 타 도면과 달리 국문, 한문, 영문, 일어가 혼용된 것이 특징이다.
공주여사범학교 본관 내 급수장치 설치를 위한 도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