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박물류
전체 859건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2021년 10월 20일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144쪽에 실린 삽화이다. 공주대학교 근처에 있었던 음악다방 상록원을 상상하여 그린 것이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1-076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39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구암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사진의 하단부에 드러난 당시 이인면사무소 소재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지도는 1730년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지도 중 공주목을 나타낸 지도이다. 지도가 정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지도 내 표현에는 채색이 가미되어 있다.
1939년(소화 13년) 4월에 측량하고 제작한 중 도(圖) 23장의 제13호 도면이다. 1천 2백 분의 1 축척으로 제작되었다.
1977년에서 2017년 사이 신문을 스크랩한 것으로 2011년 10월 29일 조선일보 '산에 막힌 한양, 물길 따라 흐른 교토… 수도의 풍수는 國運을 바꿨다' 외 204건의 기사가 스크랩되었다. 공주 3.1운동 역사, 공주금강팔정, 공주 향토사업, 공주의 옛모습,…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1-098
공주형무소신축공사배치도 축적삼백분지일로 공주 교도소의 전반적인 구성 배치도이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1-099
2020.03.16~04.10 동안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아카이브팀에서 진행한 웹툰(그랬슈 통신) 제작 공모전 안내 포스터이다.
1967년 충청남도 체육회가 주최한 제7회 도내 국민학교 종합체육대회의 우승기이다. 깃발 중앙에는 체육회의 심볼이 있으며, 좌우로 '우승'이라는 한자가 적혀 있다.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의 귀양봉 일원의 모습이다. 당시 금강의 수려한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숭선군 묘역의 위치도 본 자료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1984년 배양환님이 군생활 중 패용한 명찰이다.
192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이정전도이다.
공주여사범학교 본관 및 기타 건축물에 대한 전기설비도면이다. 해당 도면은 기숙사에 해당하는 도면으로 추정되며 기숙사의 전등배선에 대한 도면이다.
공주학연구원이 주관하고 주최하는 공주학강좌를 모집하기 위한 현수막이다. 선착순 30명을 모집하며, 교육장소및 접수기간, 교육기간과 문의번호도 기재되어 있다.
2007.10.13(토)-10.22(월) 10일간 진행된 공주국제미술제 포스터이다. 장소는 임립미술관이며 주최는 mbc대전문화방송이며 주관은 임립미술관, 후원은 충청남도와 공주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