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85년 제63회 계룡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운동회 사진으로, '농악놀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예술공연'이라는 메모가 있다. 의상을 갈아 입은 학생들이 풍년을 기원하며 농악놀이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정안면 인풍리에 위치한 밤골농장식당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공주에서 태안, 당진, 홍성, 부여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다.
1982년도 공주여자중학교 제48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교내 운동장 조회의 모습이다. 본교사 앞으로 설치된 간이단상에는 교장선생님이 올라가 있고, 학생대표와 함께 거수경례 자세를 취했다. 이에 따라 전교생도 같은 자세를 취하고 있다. 학교 운동장 뒷편으로는…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다. 1459년(세조 5) 편찬된 월인석보를 찍어내던 판각이다.
공주 효부 성씨 사적기를 촬영한 원본필름이다.
제71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87년 유구국민학교 추계체육대회 모습이다.
관골의 변화② 풀이 하나도 없는 자리가 '꽃무리화원'이라는 꽃집이 있던 자리다. 꽃집이 문을 닫을 거라는 소문이 있었지만 이렇게 건물까지 사라질 줄은 몰랐다.
1965년 공주중학교에서 진행한 고마나루 봄소풍의 모습이다. 본 자료는 금강변 모래사장에서 씨름에 나선 두 학생과 심판의 모습이다.
1970년대 공주사대 역사교육과 학생들이 답사를 떠나기 전 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 학생들 뒷편으로 대기하고 있는 답사를 위해 대절한 버스에는 사대 마크와 함께 '역사과 답사반'혹은 '공주사대 고적답사'등의 플랜카드가 걸려 있다.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공산성에 있었던 '백제고도 공주의 연혁' 안내판 앞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3학년 3반 학생들의 졸업사진이다. 안내문에서는 하남위례성의 위치를 천안의 직산으로 설명하고, 이후 광주 남한산성 및 북한산 등지로…
공주 출신으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사진을 취미로 하여 다양한 생활사 자료를 남긴 지인준 기증자의 사진이다.
공주시 계룡면 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오수혁의 정려로 지난 1997년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이 자료는 1929년 3월에 생산된 공주고등학교 제3회 졸업앨범의 속표지이다. 앨범의 속표지에는 '충남공립고등보통학교'라고 씌여 있는데 공식적인 학교명칭인 공주고등보통학교와는 조금 다르게 씌여있다.
공주고등학교는 1922년 4월 22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로 설립…
1973년 봄, 공산성 공산정 인근에 올라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뒷편으로 보이는 전막과 금강, 금강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마을조사 과정에서 생산한 사진 원본 필름이다.
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졸업사진을 발췌한 것이다. 제민천변을 배경으로 서 있는 학생들을 찍은 것이다.
1960년 제35회 정안초 졸업식을 기념하여 발행한 졸업생 일동과 교직원의 면면이 담겨있는 간이 졸업앨범의 일종이다. 졸업생 일동이 수학여행을 다녀온 곳의 풍경부터 각종 행사 사진도 함께 수록된 것이 특징이다.
2013 백제문화학교 공공기관직원대상 현장답사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