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96년 7월 13일 저녁 8시부터곰나루 국민관광단지 내 특설무대에서 열린 공주시민을 위한 곰나루 한 여름밤 대축제 '시민화합한마당' 행사 안내장이다. 이 행사는 계룡문화예술회예술단에서 주최하고 공주시 생활정보지 사거리와 공주신문사에서 후원하였다. 이 안내장에는…
2004년 공주시에서 작성한 국제 도자문화 교류 촉진에 관한 연구 문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제1장 유전 자기의 도조 이삼평공
제2장 유전의 도자문화
제3장 유전 도자 대전과 도자기장
제4장 공주지역의 도자문화
제5장 공주시의 도자문화 진흥을 위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라고 불렸던 욱정(旭町)거리(現 감영길)의 모습이다. 이곳은 공주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손님을 비롯해 상인과 지게꾼 등 수많은 사람이 오갔던 곳 중 하나였다. 또한 도청에서부터 대로를 따라 전봇대가 세워져 있으며, 각 상점마다 문…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0년 1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1986학년도 정안초등학교 내 제반사항을 알려주는 학교요람 안내서이다.
1. 92년 사업실적 분석개요 / 2. 총괄부문별 사업실적통계표 / 3. 문화홍보사업 / 4. 도서관사업 / 5. 시청각교육사업 / 6. 방송사업 / 7. 원사시설대외 활용실적
공주공립고등여학교가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 부지로 이전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1933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자 보상책으로 도청건물을 활용한 공주농업고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실습지의 부족으로 당시 상반정(現 봉황동)에서 폐교된 도립사범학교 건물을 사용하던…
2005년 10월 27일 충청남도역사문화원장에게 받은 위촉장이다. 윤여헌을 2005년도 충청남도 비지정동산문화재 실태조사 사업의 자문위원으로 위촉한다는 내용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문서로 사회발전의 현실을 주제로 쓴 글의 초안문이다. 문서는 정신적 지지의 상실 / 꿈도 사상도 가치도 상실한 현대인은 현실주의자가 되고 찰나주의자, 실리주의자가 되었다 / 물질만능의 사회 등을 주제로 전개된다.
이국강이 윤여헌 교수에게 보낸 서신이다. 웅진문화를 고맙게 잘 받았고, 감기로 입원한 바가 있으니 특별히 감기조심하라는 안부를 전하고 있다. 아울러 공주에 관한 글 한편이 실린 책을 보낸다고 전하고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경내 현판에 대한 전수조사 자료카드이다.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이다. 납부금 일천원을 10월 분의 사친회비로 청구하였다. 발행한 연월이 단기로 기록되어 있으며 담임성명과 학부모의 성명도 기재하였다.
1955년 계룡면 유평리 주민이 작성한 중간결산을 위한 영수증이다. 내역으로는 '4288년 2월 10, 2일부터 5두(斗)식하기로 하면서 2월 10.3일에 백미 2두(斗)를 내었음'이라는 내용이 자필로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지역 문헌에 대하여 정리한 기록이다. 본문에 언급된 문헌은 동국여지승람(공주목편)과 공주승람, 초간 권문해의 초간일기, 웅진당기, 조선지지략,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에 대한 강의안이다. 계급에 대해 마르크스의 주장과 사회성층론자의 주장을 비교하고 있다.
1952년 영명중학교에서 주최한 주산경기대회에서 2등을 한 전영진님의 상장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대통사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대통사 뿐만 아니라 수원사지에 대한 내용도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