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대학 홍보연구위원회 개최 통보 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연도미상의 엔도치쿠센(遠藤竹泉)에 관한 이력서류이다. 유니세프 회원이며 훈장, 표창, 서도력(서예능력 書道歷, 입선경력 등 소개), 국제교류, 학력, 직업(현업) 등을 다루고 있다.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공주문화원의 제13대 이사장인 이병오 군수가 공주군수직에서 경질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진행된 신임 공주군수 박찬무씨를 제14대 이사장으로 추대되었다. 따라서 본 자료의 내용과 같이 서면결의가 진행되었다. 더불어 정관 개정에 관한 내용도 본 통지문에 수록되어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대웅보전에 걸린 주련에 관한 것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명부전에 소장된 정토종 포교당 시왕도-제5염라대왕에 관한 것이다.
1923년 충청남도공립사범학교에서 발행한 교직원 신분증명서이다.
이문호가 3학년 재학 중 받은 개근상이다. 학교명은 '維鳩德巖公立國民學敎'로 기재되어있다. 이름은 '密山文鎬'로 기재되어있다.
기증자가 1984년 공주사범대학부속중학교에 근무하면서 작성한 교무수첩이다. 담당 수업을 들어가는 반 학급 학생의 성적과 수행평가 점수 등이 적혀있고, 교무회의 중 나온 중요 내용을 필기한 부분도 눈에 띈다. 또한 본 자료의 내용으로 보아 당시에는 사대부중과 사대부고…
마곡사 대향각 전경이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로 제작되어 발행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각지 실황엽서 중 공주의 실황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1914년 11월 공주 중심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공주 봉황산 아래의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잇는…
웅진문화에 실릴 라는 제목으로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원고이다. 1.山城內 우물을 復元하자 2.청벽(靑壁) 아닌 「창벽」(蒼壁)으로 불러야 3.「곰나루」는 「고마나루」로 4. 중군지(中軍址)에 標石을, 월파당(月波堂)은 復元을 5. 월성산(月城山) 봉화대에 登山路를…
1. 2000년 사업실적 분석개요 / 2. 총괄부문별 사업실적통계표 / 3. 문화교육사업 / 4. 도서관사업 / 5. 시청각교육사업 / 6. 원사시설대외 활용실적
부여군수가 백제문화제집행위원회 구성에 대한 회의 개최를 알리는 공문
1. 기본운영계획개요-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도표, 본원 이사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및 운영방침, 본원 연혁, 본원 시설 현황, 탑의 노래(원가),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사업계획개요-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금년도 중점사업목표 및…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삼국통일전쟁과 관련된 사항 이외 다양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제1쪽은 적혀있는 연도를 보아 삼국통일전쟁 당시 웅진성, 사비성 주변의 정황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2쪽은 홍춘향의 시와, 시를 읊은 홍춘향의 13대자손에게…
1987년 공주군 장기면 장암리 55번지 1의 땅을 매도하였다는 것을 증명하는 증서이다. 부동산의 위치, 매도일자, 대금, 특약을 기입하는 란이 있고, 매도인과 매수인의 서명과 함께 부동산을 매도하고 대금을 영수하는 내용이 적혀있다. 매도증서 이후로 등기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