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9년 5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사명당대선사유정진영에 대한 것이다.
충청남도교육청의 혁식담당관에서 계획한 이다. 이 문서의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교자율화 그간의 경과와 성과
2. 2009년 학교자율과 여건 및 추진방향
2-1. 학교자율화 여건
2-2. 추진방향
3. 2009년 학교자율화 중점추진계획
3-1.…
무연분묘 벌초 봉사활동 시범지역 추진일정
1957년 공주중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1개년 간의 학도호국단비 일금 일천팔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중학교 수입원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표기가 있다.
일자 1997.6.26., 장소 새이학가든이다. '문화가 살아있는 公州' 소책자 발간 기념회이다.
1987년 4월 12일 충청남도테니스협회가 주최한 충청남도 춘계 종별 테니스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 학생 김영섭, 김능규가 남자 고등부 복식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여 받은 상장이다.
1964년 공주문화원에서 10/10~11/10 한 달 간 공주 관광의 달을 맞이하여 공주 관광에 대한 좌담회 개최를 알리는 안내문이다.
1997년 3월 20일 충청남도테니스협회가 주최한 충청남도협회장기 테니스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가 남자 고등부 단체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여 받은 상장이다.
제57회 백제문화제 홍보영상 일어 나레이션 텍스트
일본의 스가야마 츠타카(獅山 慈孝)가 윤여헌 교수에게 보내온 장문의 편지이다. 신년인사를 하고 안부를 묻고 있다. 추신에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상 수상을 축하하며, 남북한이 하나가 되는 밝은 인간사회를 바란다고 쓰여 있다. 이로 미루어보아 2001년에 보내온 신년인사로…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납부금 안내문이다. 협조를 독려하는 글과 함께 납부금의 종류를 표로 만들어 안내하고 있다. 안내문 하단에는 49회 졸업생인 민환기 님의 성명이 적혀있다.
1964.10.26,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한 제1차 이사회의 회의록이다. 본 자료는 회의 당시의 내용을 속기한 자료를 바탕으로 편집한 회의록이다. 당시 회의에서는 문화원 청사 신축과 관련된 보고가 진행되었다.
1985.03.05,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51차 정기총회 회의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회의를 통해 1984년도 사업실적 및 세입세출 결산안 심의를 진행했고, 나아가 1985년도 사업계획과 예산안 심의도 병행했다.
기증자가 '공주의 전통마을 1'에서 우성면 부전동 뜸바꼴 마을 부분을 발췌하였다.

목차
곰나루 통해 서해의 어염을 공급 받던 곳
'뜸바골' 열두동네
뜸바꼴의 첫 주인 예안 김씨
청백리의 상징 이세장의 괴석
400년 내려온 부전 대동계
뜸바꼴이 비비는 부지 언덕
뜸바꼴…
공주교육청에서 발행하고 장학사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장학지도록이다. 맨 앞 페이지에는 유구국교만의 특색과 재학생 및 학급수가 기재되어 있다. 지도자의 협의 및 조언사항과 보완사항, 보완조치사항 등이 수기로 기록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관련 메모이다. 좌측에는 금강과 웅진의 지명 어원에 대한 메모가 고구려 남진정책과 함께 적혀있으며, 그 하단에는 취리산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가 적혀있다. 우측에는 무령왕 묘지석의 원문과 일어 번역문이 기재되어…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에 관한 것이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위원장인사말과 개막식 식순, 행사일정표와 각 행사별 사진자료 및 설명문, 문화제행사장소도표와 부여군 관광지도, 문화재현황을 수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