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대웅보전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이인국민학교에서 발급한 상장이다. '6년간 정근하였음으로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
공주시 5도2촌 사업 중 생산한 마을조사기초자료집의 하나이다. 본 자료는 반포면 온천1리에 대한 마을 기초 현황 조사 설문지로 공주대학교 사학과 학생이 마을조사를 진행한 것을 담고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금화당대선사성유진영의 설명글로 금화당 성유의 영정이다.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1964.09.01~1965.06.29까지 공주문화원 청사 신축과정에 들어간 공사비의 지출금액과 잔금에 대한 수기 장부이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6주년 기념집 - 기억의 습작조 인터뷰(최석영, 이귀영, 고정애, 김호걸)
1970.03.28에 진행할 정기총회에서 신임 이사 선출에 대한 안건을 심의하기 전 이사선출에 대한 서면 결의를 받은 공문과 결의서이다.
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1962년 기증자가 충청남도에 요청한 하천부지 점용에 관한 허가를 내어주는 증서이다. 내용에 의하면 점용기간은 1967년 12월 31일까지 허가한다고 되어있으며, 소정의 점용료를 공주시에 전납해야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충청남도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안내문, 행사일정표, 상세 식순과 함께 행사별안내와 대회임원, 집행부서 소개를 수록함
일본고성동호회에서 한국 산성 견학을 가기 전 송재홍 선생에게 한국의 역사 강연을 부탁한다고 전해달라는 편지이다.
한국출판문화사업진흥원과 공주시립도서관에서 실시한 강의를 수료하였다는 내용의 문서이다.
1964년 공주문화원에서 10/10~11/10 한 달 간 공주 관광의 달을 맞이하여 공주 관광에 대한 좌담회 개최를 알리는 안내문이다.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이다. 일금 백십환을 사친회비 6월분으로 청구하였다. 계룡국민학교 39회 졸업생인 진무섭님에게 단기 4288년 1월 4일에 발행하였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3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2010년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국립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관에서 진행한 세계대백제전 국제학술회의 안내 공문이다. 행사 일시, 장소, 주제, 문의가 적혀있다.
1940.03.03, 공주공립중학교 제14회 졸업식에서 배포된 수여식요람집이다. 식에 앞서 일제강점기 서슬퍼런 통치의 잔재를 보여주는 '대화신전사은제차례'라는 신사참배 순서가 수록되어있다. 다음으로 식순이 기재되어 있는데, 입장순서부터 '일동경례'등 오늘날 졸업식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