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90년 발행된 일제강점기 공주공립여자고등학교 동창회보 청란에 기재된 학교의 약도이다.
1966년 공주문화원 신청사 공사가 약 2년여의 공사끝에 완공되면서 그것을 기념하기 위한 준공식 거행 초청장이다.
백제문화선양위원회 부위원장 김성환의 주재로 백제문화제 기본계획 , 발전방안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회의요약 수록
1991년 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작성한 1991년 구룡사지 시굴조사 중간보고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명
2. 위치
3. 조사자
4. 조사기간
5. 조사목적
6. 조사지역 환경
7. 조사의 경과
8. 조사내용
9. 출토유물
10. 맺음말
일자 2001.9.5., 행선지는 이천 및 광주 도자기엑스포장이다. 공주향토문화연구회 9월 모임으로 이천/광주 등지 세계 도자기 엑스포 관람 예정이다. 일시, 출발장소, 행선지, 안내, 저녁모임이 안내되어 있으며 추신: 회지 웅진문화 14집 원고 9월말 제출을…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북가섭암 인법당에 소장된 가섭암 편액에 관한 것이다.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사가신문 2010년 9월 4일자 19면, 지역의 화제면에 熊本典宏 씨를 소개한 기사이다. 전체적으로는 이 분을 소개하는 글인데, 내용에 '약 1400년 전 조선반도에서 번영했던 백제의 중흥의 조상 무령왕. 가라쓰시 진제이정 가카라시마가 탄생지로 된 것을 인연으로 약…
일제강점기 사곡면에서 발행한 문서 봉투로, 급여명세서를 담아 근무자에게 지급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寺谷面'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백제문화제의 행사 추진계획안과 예산안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백제문화선양위원회 위원명단 수록
99학년도 대학입학 전형을 위한 특별근무기간 통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중국광시대학교 한국연구소의 연구원 김주백이 위의 2개 기관과 일본 큐슈 퇴계학연구회가 공동주관한 여말선초 퇴암 김거익 선생의 연구와 학술강연회 및 행사 등에 대한 감사 인사글이다. 이어, 충남대학교 퇴암선생의 5대손이 '임벽당 의성김씨의 생애와…
계룡국민학교 제33회 졸업생 유국종님의 졸업장이다. 본교 6개년 과정을 졸업하여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단기4288년 3월 31일자로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하였다.
藤澤一夫의 '백제석등자료'라는 글이다. 크게 '사적과 미술(1944)'라고 적힌 것을 보아 그 때 게재된 것으로 추정된다. 투고는 1943(쇼와18)년에 한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충남만의 으뜸관광상품개발 - 구석구석 보는 무령왕릉 학습지용 스티커
무령왕과 백제(문화)'라는 제명의 교재용 자료이다. 무령왕의 출생에 대한 3가지 설, 무령왕의 신체, 일본과의 교류, 부장품을 중심으로 한 무령왕과 백제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자료가 제1쪽부터 제5쪽까지 있다. 제명의 '문화'라는 글자는 수정테이프로 지워져 있다.
백제문화선양위원회위원장이 백제문화제 행사종료에 따른 간담회 개최를 알리는 공문
남궁화가 1985년부터 1988년까지 공주 무릉동 일대에서 쓴 일지이다. 양지사에서 제작한 기성품 일기장에 약 4년간의 일지를 적었는데 1985년 3월 2일부터 시작했고 일지에 날짜가 빠진 날들이 자주 보인다. 서두에는 신문 스크랩을 하였으며, 그 뒤로 하루일과를…
1986년 유구중학교에서 주최한 춘계체육대회에서 유구국민학교가 학구내 400m계주 부문 2위로 입상하여 수여받은 상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