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교육대학원 신입생 입학시험 면접고사 실시의뢰
서류1 : 회의안내(상징물 제작 심사)
2004년 정안초등학교의 장학지도 내용문서이다. 학교연혁과 시설현황 등을 비롯한 간략한 소개와 더불어 정안초등학교가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특색있는 교육들과 시정사항 등이 적혀있다.
1961년 공주고등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졸업비 일금 일천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고등학교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2002년 연하장발송대상자 명단이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일본에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하장을 보낼 대상에 대한 명단으로 추정된다.
2009.9.15. 무령왕네트워크 총회 회의자료로 1.제8회 무령왕축제 참가 2.운영위원회 모임 3.오사카 왓소축제 및 자매도시(모리야마) 방문 4.가라츠 음식축제 5.공주회 총회 6.백제문화제 가라츠 방문단 7.임원 개선 8.시청지원금 지출 내역(상반기)로 구성되어…
1959년 공주고등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서로, 2기분 납부금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기재된 납부금은 수업료, 학도호국단, 기성회비 및 사친회비 명목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문서의 제목은 라고 적혀 있다. 메모라고 하기에는 내용이 많아,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만든 초고에 가깝다. 메모의 크기는 혼재되어 있다(주된 메모는 18.2X25.6임). 이것은 2002년 12월 3일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9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이름을…
1951년 생산된 인분매도증이다. 문서에 따르면 계룡국민학교로 추정되는 학교의 인분을 다음과 같이 매도한다는 내용으로, 1951년 11월13일부터 4월 15일까지 사용기간으로, 사용료는 일금 삼만원을 영수하였다.
1961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全)기분 군경원호비 영수증으로, 일금 삼백삼십원을 대한군경원호회비로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취리산 삼국회맹지 관련 메모이다. 삼국사기의 문무왕조를 인용하여 취리산에서 삼국이 회맹하였다는 사실을 적어두었으며, 후면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갈등 요인, 그리고 웅진도독부의 설치와 전후의 참상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 건축을 진행했다. 본 자료는 1966.06.08 준공식이 진행된 후 모금한 신축기금과 지출된 공사비 내역을 총 정리하여 1967년에 작성한 명세서이다. 신축을 위해 모금한 금액보다 지출액이 더 큰 것을…
1988.02.27,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15대 이사장 취임식에서 발표된 문화원 현황보고문이다. 간략한 공주문화원의 연혁과 함께 수상실적 등이 기재되어있다.
2010년 10월 8일부터 9일까지 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관에서 진행한 제12회 한국 향토사연구 전국 대회 계획서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개최 목적
2. 충남(공주) 유치의 기대효과
3. 학술회의 주제
4. 개최방안
5. 발표주제 및 발표자
6.…
지리학 객원교수 아베 타카시가 '지명의 연구'를 주제로 쓴 글이다. 연구방법 및 연구 테마, 자연지명의 문제, 도도부현 이름의 유래, 아이누어 기원의 지명, '도래인'으로부터 유래한 지명, 지명의 보존과 새로운 지명의 문제로 소주제가 나뉘어 있다. 맨 뒤 제6쪽에…
전문은 부여군수가 백제문화제 행사 계획을 통보하는 공문이며 후문은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위원회명단과 행사총괄목록, 진행일정표를 수록함, 결제 칸 부재
1978년 공주군교육청이 주최한 '77년도 과학 실험관찰 기능 경시대회'에서 유구국민학교가 4위를 차지하여 이를 표창하는 내용의 상장이다.
현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여자사범학교의 모습이다. 1938년 일락산 자락에 세워졌다. 본 자료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