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공주시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금년도 역점 방향과 문화부 지정 전통문화 행사종목, 행사종목 분류, 세부행사추진계획 및 일정표, 대외협조요망사항, 진행 책임자 명단, 연혁, 연도별 비교 평가 분석, 삼대문화제 비교 평가 분석을 수록함
천주교 대전교구에서 1985년부터 1987년까지 실시한 '제1기 공소지도자 교육'을 수료한 계룡면 중장리 신자에게 발행한 수료증이다. 신자는 공주 중동본당의 중장공소 소속의 김영철 바오로 님으로, 수료증을 수여하며 교회발전을 위하여 봉사할 것을 당부받았다.
일본 가라쓰시의 물류회사인 유한회사 우정환의 대표이사인 우라마루마사루(浦丸護)가 윤여헌 교수에게 보내온 연하장이다. 인쇄된 엽서형태로 우라마루가 특기한 내용은 없다.
1957년 공주중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교과서 대금으로서 일금 삼천칠백환을 영수하고 있다. 공주중학교장의 명의로 영수되었으며, 학년과 반, 학생성명은 가장 우측의 칸에 세로로 기입되어 있다.
공주문화원에서 1984년도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하고 심의 가부를 결정하기 위해 진행한 서면결의이다.
가카라시마에서 개최된 무령왕탄생제 및 역사문화포럼에 참석한 공주시장의 일문 감사인사문이다. 무령왕과 가카라시마의 역사적 관계 설명과 한일우호증진 유지와 기대를 담고 있다.
1958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기분 농원회비(農援會費) 영수증으로, 일금 사백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날짜,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전 공주교대 총장 및 김영배, 안승주 교수와 함께 무령왕릉 발굴에 참여했던 박용진 님이 작성한 초고이다. 백제의 공주 천도 1500주년을 맞이하여 그 의미와 공주백제의 문화에 대한 글을 작성하였다. 머리말 이후 1. 공주백제시대의 역사 1) 공주백제의 시대개관 2)…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이다. 앞면과 뒷면에 모두 메모가 기재되어 있다. 먼저 앞면에는 공주 계룡산 유적으로서 갑사와 신원사, 구룡사지, 신도내 유적명을 기재하고 위치와 간단한 설명을 해 두었다. 또 뒷면에는…
쇼와 8년(1933년)에 작성된 공주시민 이준하, 이수준, 윤명재 3인에 대한 판결문이다. 주문과 공소 이유서 등 관련 서류가 포함되어 있다.
1981년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서 우성중학교 오재봉 씨에게 발행한 상장으로, 제3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에서 우수작품을 입상하도록 창의력신장과 탐구학습지도에 진력한 공을 치하하여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오재봉 씨가 지도한 작품은 '편리한 개량활톱'이다.
1997년 5월 공주시향토문화유적보호위원회회의 서류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공주시향토문화유적 지정심의 제안서
2. 공주시향토문화유적 지정심의 대상
3.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종별 구분 및 번호부여(안)
제12회 한국향토사연구 전국학술대회 윤여헌교수님 환영사이다. 공주에서 개최한 학술대회의 방문자, 관계자들에 대한 감사인사와 향토사 연구의 실정과 한계, 향토사 연구의 체계화와 대중 보급작업 촉구, 학술대회 내용(시지/군지 편찬문제, 마을지 편찬문제, 문화안내책제…
제 31회 백제문화제 충혼제 제수비로 50,000을 청구하는 서류
공주군 재건청년 교육원에서 주최한 교육에 계룡면 중장리 주민이 참석하여 청년회 간부 교육과정을 수료하여 배부한 수료증이다. 수료증에는 참석자의 소속과 성명, 생년월일 등이 기재되어 있다. 자료제공자에 의하면, 박정희 정권 당시 마을의 이장직들을 모아 훈련하였는데, 당시…
공주우편국 앞에서 서쪽의 봉황산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도청과 가깝고 근처에 법원이나 경찰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등 주요기관이 있어 우편국 앞은 인파로 붐볐다. 한편 1920년대 조선노동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범사회적인 노동운동이 발생했을 때,…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메모로, 옛 충청감사가 공주를 방문하여 지은 한시의 원문을 기재해 둔 것이다. 이안눌의 선화당, 송상기 시, 홍수주의 관풍루, 홍중하의 시가 있다.
서류2 : 상조회소식(백승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