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 학위기이다.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졸업시험과 논문을 제출하여 심사에 통과하였음을 증명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동대학원 교육대학원장, 총장의 직인이 찍혀있고 하단에 교육부장관의 직인으로 교육법 시행령 규정을 지키고 있음을 인정된다.
부여군수가 제 31회 백제문화제 행사를 위하여 백제문화 선양위원회를 개최한다는 공문
공주시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위원장인사말과 식순, 행사일정표와 각 행사별 사진자료 및 설명문 , 문화제 일람표와 사진자료를 수록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자필로 작성한 에 관한 메모이다. 공주인의 다섯가지 덕목과 한국인의 공통적인 인간상에 대하여 고찰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명부전 편액에 관한 것이다.
교사 사진
계룡국민학교 제43회 졸업생인 민전규님의 1학년 아동학교생활통신표이다. 보호자인 민병영님에게 발행되었으며, 출석상황과 특별활동상황, 행동발달 및 교과학습발달과 학교에서의 의견을 기록하였다. 국민학교 1학년 과정을 수업하였다는 내용의 수업장이 맨 뒷장에 있다.
공주문화원에서 일본 현지 답사를 위해 발급받은 여행비 및 개인환전액 영수증과 참여인 명단이다.
1952년 공주군 계룡면 유평리 이장이 발행한 납입고지서 및 영수증이다. 고지서에 의하면 8월5일까지 면사무소에 일금 사천오백원을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고지서 및 영수증 모두 우측에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과 납부비목을 기재하는 양식으로 통일하였다.
이문호의 조모 '이영자'의 소상 시 작성된 부의록이다. 첫 장에는 '무술 11월 15일 자기친소기' 와 '부의록'이 적혀있다. 내용을 보면 가족의 경우 관계와 이름을 상단에 적고 하단에 부의물품과 그 수량을 기재하였다. 11~14쪽은 당시에 사용된 물품내역이…
1962년 기증자가 충청남도에 요청한 하천부지 점용에 관한 허가를 내어주는 증서이다. 내용에 의하면 점용기간은 1967년 12월 31일까지 허가한다고 되어있으며, 소정의 점용료를 공주시에 전납해야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1998년 발행된 일선동조론의 신판에 실린 서문으로 추청한다.
이문호가 3학년 재학 중 받은 개근상이다. 학교명은 '維鳩德巖公立國民學敎'로 기재되어있다. 이름은 '密山文鎬'로 기재되어있다.
1932년도 반포공립보통학교 임월수 학생의 통신부이다. 기존의 양식과는 달라진 형태로는 보통학교 몇 학년의 과정을 이수했다는 수료증서와 본교의 학생임을 증명한다는 재학증명서가 있으며, 이는 공란으로 남아 있다. 뒷면에는 수업수행상황, 출결석상황, 신체검사현황 등이 적혀…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 건축을 진행했다. 본 자료는 1966.03.08 기준 공주읍 내에서 진행한 수금-미수금 내역서이다.
공주시 공문이다. 공주시 지명위원회 위촉계획, 공주시 지명위원회 조례, 위촉동의서 양식이 첨부되어있다.
1965년 반포국민학교에서 제6학년 남신현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반포국민학교에서 개최한 글짓기대회에서 입선하여 상장을 준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1978학년도 정안초등학교 내 제반사항을 알려주는 학교요람 안내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