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50년 공주금융조합에서 발행한 제1기분 부가세 영수증이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지리학 객원교수 아베 타카시가 '지명의 연구'를 주제로 쓴 글이다. 연구방법 및 연구 테마, 자연지명의 문제, 도도부현 이름의 유래, 아이누어 기원의 지명, '도래인'으로부터 유래한 지명, 지명의 보존과 새로운 지명의 문제로 소주제가 나뉘어 있다. 맨 뒤 제6쪽에…
1956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수입이자영수증이다. 단기로 기재된 날짜 밑으로 영수받는 자의 성명이 적혀있다. 전표 가장 우측에는 세로로 금액을 기재할 수 있고, 대부(貸付)종별과 연월일, 산출원금(算出元金)과 연월일 및 일수, 이율과 이식(利息)을 차례대로 적는 칸이…
1957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수입이자영수증이다. 단기로 기재된 날짜 밑으로 영수받는 자의 성명이 적혀있다. 전표 가장 우측에는 세로로 금액을 기재할 수 있고, 대부(貸付)종별과 연월일, 산출원금(算出元金)과 연월일 및 일수, 이율과 이식(利息)을 차례대로 적는 칸이…
1985년 공주문화원에서 내고장 문화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청양출신 최창규 선생을 초청한 강좌 개최를 알리는 공문을 공주지역 각 사회단체에 발송한 것이다.
49회 백제문화제 회의 안내 공문이다. 회의일시, 장소, 안건, 참석대상이 적혀있다. 뒷장에는 공주백제문화선양위원회 위원 위촉대상자 명단이 첨부되어있다.
1933년 충남도청 내 건물에서 개교한 공주공립농업학교가 학생들의 실습교육을 위해 1938년 장기면 신관리 196번지(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부지)에 이전했을 당시 교사의 모습이다.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이 사진그림엽서 속 모습 그대로 공주공립농업학교는…
1969.03.18, 공주문화원 도서실에서 진행할 우주과학에 대한 교양강좌 안내문이다. 본 강좌는 미 공보원의 후원으로 진행되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위상규 교수가 초빙된다. 강좌 주제는 아폴로 계획을 통해 본 인간의 달 여행이다.
1972년 7월 21일부터 1973년 2월 12일까지의 기록이다. 기증자의 개인적인 일화가 다수 차지하고 있다. 기증자는 신풍면 산정구에서 살면서 교동의 직물공장과 유구의 직물공장에서 근무하였고, 결혼을 하면서 사곡면으로 오게 되었다. 일기는 혼인을 한 시점부터…
1910년대 초반 '조선의 명소(朝鮮名所)'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 중 계룡산 남매탑을 배경으로 제작한 것이다. 본래 명칭은 청량사지 7층석탑과 5층석탑이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사찰지이다. 남매탑 앞에 제복과 양복을 입은 사람과 흰색의 전통 한복 차람의…
공주시 전직 새마을사랑 모임회 회칙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공주시에서 마곡사 솔 바람길을 주제로 만든 2011년 책상달력이다. 로터리 클럽은 간혹 보이고, OB 회원 모임이 자주 보인다. 일본과의 교류를 위해 공주회 공주통신 회보를 받거나 서신을 주고 받은 날짜들도 기재해 두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8년 8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1974.02.14, 공주문화원 생활관에서 진행한 제33차 이사회 및 총회의 회의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회의를 통해 1973년도 사업실적보고서와 세입세출 결산심의를 통과시켰고, 1974년도 사업계획서와 세입세출 예산서를 심의했다.
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1966.06.22,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된 제7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이사회에서는 신임 이사장 선출에 대한 논의와 함께 문화원 제운영비 염출책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