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고대 한일관계와 관련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쇼토쿠 태자, 요메이 덴노, 긴메이 덴노의 출생에 관한 작은 메모, 그리고 일본의 불교수용에 대한 메모가 담겨 있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A4이면지로 공주로타리클럽에서…
1968.01.07,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한 제17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당시 이사장 선출 건이 주요 의제였으며, 이사 1인당 납부하는 회비를 월 1,000원씩 인상하는 안건도 논의 후 통과시켰다.
제57회백제문화제 CD케이스 표지
고마나루에 관련된 문서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머리말
곰사당은 강신을 제사했다.
곰신앙과 고마나루
충청(공주)감영
인조파천이 남긴 것
일제강점기 차부가 기재된 윤여헌 기억 속의 공주시가지 지도이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자필로 그린 것으로, 당시 공주면 본정통에 있던 일제강점기 차부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논산-공주간 순환자동차부, 공주-조치원간 자동차부, 마루쥬운송점 등이 표기되어 있다. 첫번째…
1968.11.16~17 양일간 공주문화원 주최로 진행한 제1회 아마추어 바둑대회 개최요강이다. 대회를 진행하는 임원의 명단과 참가 범위, 시상내용이 수록되어있다.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현재의 중앙공원에서 내려다본 사진그림엽서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카드형의 강의안으로 주제는 이다. 총 2절까지 기록되어 있는데, 1절은 정치학의 곤란성이며 2절은 정치학의 분류를 주제로 쓰고 있다.
1989년 공주시 교육청에서 주최한 제5회 학교 간 경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김영란 학생이 여국5부(200m)부에서 3위를 기록하여 이를 표창하는 내용의 상장을 받았다.
한남대학교 외국어 교육원에서 실시한 교원연수를 이수했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이수자의 인적사항과 연수종별 및 명칭, 연수성적, 연수기간이 기재되어 있는데, 연수성적은 투명테이프로 덧붙여 수정할 수 없도록 하였다.
교육공무원의 인사기록카드 양식이다. 교원의 본적, 주소, 생년월일, 병역관계 등의 인적사항과 가족관계, 교육관련 자격면허, 교육훈련기간, 징계이력, 학력, 경력 등을 상세히 적을 수 있도록 칸이 마련되어 있다. 뒷면에는 경력사항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력평점표를…
2014년 1월 25일부터 11월 25일까지 매달 25일의 전기 검침표이다. 광복회 공주지회와 6.25참전 전우회, 특수임무유공자회, 베트남 참전 전우회, 고엽제전우회 등이 함께 나라사랑의 집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호남고속철도 『천안분기 공주역사 건설』 당위성
이 문서는 공주시에서 발급한 계룡문화회관의 공연장설치허증 사본이다. 공주시 반죽동 5번에 위치한 계룡문화회관은 공주시 공연장 제1호로 1997년 6월에 허가를 받았으며; 당시 대표자는 오태근이다. 당시 공연장은 문예술공연을 위한 일반 공연장으로 좌석 340석; 입석…
1971년 공주근로청년상록수회에서 주최한 자전거 하이킹 대회 안내문이다. 당시 공주문화원에서 출발하여 갑사를 다녀오는 왕복 코스로 진행되었으며, 1인당 300원의 회비를 납부해야 참가가 가능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마곡사 고장에 소장된 마곡사 청련암 영산회상도에 대한 조사카드이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7주년 기념집 - 기억의 습작조 인터뷰(서정석)
공주고등보통학교 신축부지가 당시 공주심상소학교 자리(現 공주고등학교 부지)로 선정된 직후 기숙사 3동부터 신축하여 1923년 건물이 완공되었다. 공주심상소학교(現 봉황초등학교)는 헌병대 연병장 자리로 이전되었는데, 엽서 속 중앙 상단부에 희미하게 소학교가 보인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일별 행사계획표를 수록함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비로자나불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대광보전에 1788년 조성된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가 제자들에게 법화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담은 후불탱화 영산회상도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