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진영장(鎭營將) 관련한 기록이다. 1895년 관제 개혁으로 인해 진영장이 폐지되면서 병사사무와 포도사무, 치옥사무가 어떻게 개정되었는가에 대해 약술되어 있으며, 기타 변천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백제문화제의 연구목적 , 제 46회 개최현황과 조사결과 분석, 백제문화제 활성화 방안 , 48회 백제문화제 기본계획안을 수록함
1964년 반포국민학교에서 제4학년 이철규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학업이 진보하여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1952년 공주군 계룡면 유평리 이장이 발행한 납입고지서 및 영수증이다. 고지서에 의하면 7월 20일까지 면사무소에 일금 이천이십원을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이에 대한 상세내역은 충혼대비 일금 1,200원과 예방협회비 일금 1,000원이다. 고지서 및 영수증 모두…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웅보전에 걸려있는 '충청우도공주태화산마곡사대웅전현판'에 관한 것이다.
2009년 10월 8일 공주시청 소회의실에서 진행한 일본국 당진시 방문단 환영식이다. 일시, 장소, 참석자, 행사순서가 실려있다.
1993년 공주교육대학에서 주최한 '제4회 대전직할시, 충청남도 국민학교 미술실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6학년 오진옥 학생이 입선하여 상을 받은 내용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역사서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은데, 우선 메모의 중앙에

1. 공산지 을미(1859년)간행, 안사 김응근 서문 있음
2. 공산지 서병호 발행 1922(임술)간행 충남지사 서문
3. 충남향토지 1935년…
1972.02.10에 진행할 공주문화원 제29차 이사회 및 제10차 정기총회 개최를 알리는 통지문이다.
앞면에는 파평 윤씨 노종파보라는 이름으로 35세손부터 38세손의 이름이 적혀있고, 뒷면은 종인 명단 기록표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두 장의 인조파천 관련 기록이다. 장유가 공주산성에 대해 일평한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1924년 2월 9일 이괄의 난이 발발하던 당시의 기록과 경위를 기재해두었다. 다음 장 말미에서는 인조파천이 남긴 것을 적어놓았는데, 그것은 아래와…
천안향토사가 임명순이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새로운 해석방법으로 백제의 첫 도읍지인 위례성을 직산이라는 것을 연구하여 발표한 내용이다.
1991년 충청남도 공주교육청에서 주최한 '시.군내 국민학교 학생 미술실기 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5학년 1반 노미영 학생이 서예부문에서 은상을 받은 내용의 상장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당나라 시인 최도융의 한시 의 본문과 그 주석이다. 우측에는 한시의 본문이 적혀있으며 좌측에는 그와는 무관한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는데 한시와 기록의 전문은 아래와 같다.

牧竪持蓑笠
목동은 도롱이와 삿갓을 걸쳤는데,

逢人氣傲然
사람을…
계룡국민학교에서 35회 졸업생인 진경희님에게 단기 4285년 6월 24일에 발행한 영수증이다. 이천원을 청구한 것으로 보이며, 월분 및 종별을 기입하는 곳을 기재하지 않아 금액을 청구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다. 담임성명 대신 도장을 찍었다.
1973.06.26~07.02 동안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서울 어린이 회관의 지원으로 제15회 세계 아동미술전시회 개최를 알리는 초청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