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3.06.03.~06.04. 개최된 공주고등학교 제4회 봉황 축제 관련 사진으로, 운동장에 설치한 무대 위에서 공주고등학교 밴드가 공연하고 있다.
공주시 우성면 어천리에 위치한 버든여울 마을 전경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이동농민상담소(1)
1959년 공주문화원 개원 5주년을 기념하여 공주읍공관 앞 도로변에서 공주 관내의 소식과 역사를 소개하는 패널 전시회의 모습이다. 멀리 영명학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 평산신씨 문중이 소장한 족보를 사진 필름으로 기록한 것이다.
공주군농촌지도소 우성지소에서 관리하는 벼품종 비교지도구역이다. 소재지는 공주군 우성면 단지리이고, 경작자는 '윤복근', 담당지도사는 '최봉규'이다.
충남구역 하기 아동 성경학교 지도자 강습회 기념 단체사진이다. 맨 앞줄 왼쪽 6번째가 이일봉 전도사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담장 허물기 사업 시행 사진으로, 학교 본관 정문 쪽의 담장을 새로 정비하는 과정을 촬영하였다. 공사 진행 중의 과정으로 담장이 모두 허물어져 있다.
1995년 9월 보룡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진행한 재학생과 교직원, 학부형이 함께하는 가을운동회의 모습이다.
공주시 탄천면 성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효자 황춘억에 관한 정려를 촬영한 원본 필름이다.
1978.11.11. 개교 56주년 웅진예술제 관련 사진으로, 공주극장에서 열창을 하고 있는 합창단의 모습을 촬영하였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십이지신 석상으로 좌측부터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석상이 있고 그뒤로 각각의 내용을 설명하는 안내문이 벽에 붙어 있다.
1949년 덕암공립국민학교 제7회 졸업기념 단체사진으로, 교직원과 졸업반 학생들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다. 1938년 유구읍 덕곡리 지역에 설립된 덕암공립국민학교는 별다른 교복을 마련하지 않고 남학생은 저고리와 바지, 여학생은 치마저고리 등 단정한 복장을 교복으로…
우성면 상서리에 위치한 거부네집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2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공주 학도호국단 엽합사열대회의 모습이다.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공주시 유구읍 여드니 마을 입구에 위치한 남자 석장승의 모습이다. 서낭과 장승이 공존하는 모습이 특이점이다.
1955년 공주문화원 개원 1주년을 맞이하여 지금의 공주중동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가마니짜기 대회의 모습이다. 당시 공주문화원에서는 농촌생활문화향상을 위한 전후 초기 사업으로 농민부업 장려의 목적에서 가마니치기와 새끼꼬기 경진대회 등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