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장으로 재직중이던 시절, 장팔현 박사가 무령왕의 일대기를 그린 '소설 무령왕' 집필과 출간에 대하여 직접 작성한 격려사이다.
현 공주봉황초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상반소학교가 현 위치인 봉황동으로 이전했을 때의 모습이다. 상반소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니던 학교로서 금학동의 현 공주고등학교 부지에 공주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했다. 그러다 소학교 부지가 공주고등보통학교 신축부지로 선정되면서 당시…
1984.02.13,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49차 정기총회 회의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회의를 통해 1983년도 사업실적 및 세입세출 결산안 심의를 진행했고, 나아가 1984년도 사업계획과 예산안 심의도 병행했다.
공주교육청에서 발행하고 장학사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장학지도록이다. 맨 앞 페이지에는 유구국교만의 특색과 재학생 및 학급수가 기재되어 있다. 지도자의 협의 및 조언사항과 보완사항, 보완조치사항 등이 수기로 기록되어 있다.
1973년 공주군농업협동조합으로 부터 지원받은 공제금과 대출금 회수계산서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원암 관음전에 소장된 시주기에 관한 것이다.
1. 기본운영계획개요-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도표, 본원 이사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및 운영방침, 본원 연혁, 본원 시설 현황, 탑의 노래(원가),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사업계획개요-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금년도 중점사업목표 및…
1962년 2월 24일 계룡국민학교에서 제43회 졸업생 신갑승님에게 발행한 상장이다.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 담긴 상장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1년 5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4학년 임용고시 지원 명렬표
1990년 우성농업협동조합에서 주최한 농촌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4학년 오정화 학생이 우수상을 수상한 내용의 상장이다.
1961년 기증자의 부친이 장기면에 납부한 재산세 영수증이다.
1993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 Soft의 방명록이다.
공주소식지 1989년 2월호에 실린 윤여헌의 용산구곡 교정본이다. 검정펜으로 교정이 되어있다.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1929년 조선대도회 지도 표지 속 공북루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이다. 일금 육십원정을 사친회비 4월분으로 청구하였다. 원래는 운동회비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수기로 사친회비로 수정한 것을 볼 수 있다. 단기 4285년 5월 4일에 발행하였으며, 발행한 담임선생님과 납부해야할 아동의 성명이 가장…
공주고 제33회 김용경, 임영수, 이종태가 윤여헌에게 보낸 출판 축의 봉투이다. 앞면에는 '선생님 출판 축하드립니다'가 적혀있고 뒷면에는 이름이 적혀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충청남도공주군태화산마곡사대웅보전삼존불상개금중수기'에 관한 것이다. 대웅보전에 봉안된 삼존불상은 마곡사 창건 초기인 1280년 전부터 존재했는데, 세월의 흐름으로 금의가 탈락했다. 이에 1913년 1세 주지 장보명 화상이…
1993.02.26,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66차 정기총회 속기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1992년도 사업실적 및 세입세출 결산안 심의와 1993년도 사업계획 및 세입세출 예산안 심의가 이뤄졌다.
1966.07.26, 금향회의 제17회 정기음악감상회를 알리는 안내문 겸 설명문이다. 하단의 결재란이 낙인찍힌 것으로 보아 접수공문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