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신관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던 기증자에게 초등학교 교감으로 임명하고 충청남도공주교육청교육장이 지정하는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카드형의 강의안으로 주제는 이다. 총 2절까지 기록되어 있는데, 1절은 정치학의 곤란성이며 2절은 정치학의 분류를 주제로 쓰고 있다.
1909년 7월 26일자로 칙령 제62호 사립학교령에 의해 '사립영명학교'의 설립을 허가한다는 문서이다.
1950년 기증자가 월산공립국민학교를 졸업하면서 받은 졸업장이다. 월산공립국민학교는 현재 폐교되었으며, 정안초등학교로 학교 기능이 모두 이관되었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1주년 기념집 - 두드림조 작품내용(교원양성제도의 변화)
소화19년(1944), 3월 임시자금규정법 및 조선총독부령에 의거하여 발행된 금5원권의 애국채권이다. 앞면에는 발행근거가 뒷면에는 5원과 3원의 경우 각 등급에 따른 내용, 주의사항 등이 기재되어 있다.
대전시에서 주최하는 제 22회 백제문화제에 대한 대전시민헌장, 국민교육헌장, 취지문, 인사의 말씀, 격려사, 백제문화제 대전시 행사 집행위원회, 세부 시행 계획, 초롱등 점화장소 위치도, 행사목록이 수록됨
1968년 제1회 5급 지방공무원 공개채용 농업직에 합격했음을 통보하는 합격통지서이다.
제목과 목차만 적혀있다.

목차
1. 삼국유사에 기록된 공주에 관한 기사
2. 인조파천
3. 공주 진우영
4. 기타
2001년에 발행된 다시 보는 문화유적 복사본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공주의 향토지
어사 박문수의 집터
번길의 묘비
대통사지에는 불교자료관을
1980년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서 발행한 교사 표창장으로, 우성중학교에 근무하는 오재봉 씨에게 수여하였다. 무궁화, 은행나무 전시회 기술분야에서 풍부한 창의성과 왕성한 연구의욕을 발휘한 '국화만발'이라는 작품을 출품하여 입상하였기 때문에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윤여헌 교수가 '일한우호의 역사'라는 대제목으로 쓴 것과 같은 내용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헌법학 강의록이다. 헌법학의 기본이론을 시작으로 헌법, 대한민국 헌법, 기본적 인권의 보장, 통일주체국민회의, 통치기구, 헌법위원회, 경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유신헌법 시절의 헌법을 대상으로 하는 강의록이다.
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역사 관련한 기록이다. 본문에서는 웅진당 즉, 곰사당에서 지내었던 강신제와 공주목, 충청도의 군권 제도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공인공주잠업전습소의 교육생의 주소와 성명이 기재된 문서이다. 29명의 주소와 성명이 기재되어 있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3299100000
1985년 내무부에서 주최한 전국토 공원화운동 시책추진계획에 투철한 국가관과 시대적 사명감을 갖고 공주금학국민학교가 참여함에 따라, 발행한 감사장이다. 당시 내무부 장관인 정석모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으며, 교명 상단에는 '충청남도 공주군 공주읍 중학동'이라는 주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