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일본 가카라시마에 있는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역사·문화포럼·탄생제 일정안이다. 6.25.~6.28.의 일정으로 공주시장 오영희, 윤용혁 교수, 윤여헌 교수 등의 일정이 각각 구분되어 적혀있다. 한글판과 일문판으로 되어있다.
김주백(金柱白)이 윤여헌 교수에게 보내는 서신이다. 이 편지는 김주백이 김수천(金壽千)의 딸이자 충청도 비인의 유여주(兪汝舟)의 부인인 임벽당(林碧堂) 의성김씨에 대한 책을 내고 동봉한 것이다.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를 신축했다. 본 자료는 공주의 읍면 단위에서 실시한 회사금 수금과 미수 내역서이다.
서로 다른 정보가 있다. 앞면에는 백제문화의 특징을 일본문으로 기술했다. '무령왕은 중국 양과의 교류를 통해, 발달한 선진국의 문물을 수입한 일은 이미 기술했다'로 시작하며, 전체적인 내용은 무령왕릉의 특징이다. 뒷면에는 일한교류문제를 기술했다. '교류의 목적은 상호…
1960년 계룡면 유평리의 농가에서 작성한 보관증이다. 문서에 의하면 보관인은 유평리의 진무섭 님으로 일정기간동안 백미 매입분을 보관함을 증빙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관음전 편액에 관한 것이다.
윤여헌이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 관광 코스가 적혀 있다. 본인이 직접 소개하는 공주 관광 코스, 놀이관광 코스, 스쳐가는 관광 코스를 주제로 성내마을, 머무는 관광을 위해서, 시내관광, 도자기도 직접 만들어가는 관광코스가 담겨 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2년 4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기증자의 부친이 교직원으로 근무하던 1950년 월급과 함께 지급받은 백미를 수령하고 받은 확인증이다. 수령증에 의하면 공주금융조합에서 백미를 현장지급했다는 확인 도장과 함께 2개월분의 쌀을 배급한 것도 볼 수 있다.
윤여헌 교수의 조카인 윤홍식이 윤여헌 교수에게 전해올린 친필 문안 서신이다. 본 서신이 작성되던 당해 기준(1995년)으로 익년인 1996년이 동토 윤순거 선생의 탄생 4백주년을 맞이하는 해로서 유의미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윤여헌 교수가 집필하였다는 동토 선생의…
공주영명고등학교 1학년을 재학한 기증자의 성적통지표로 수업수료증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8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이름을…
1955년 공주 계룡면 유평리의 진무섭 님에게 영수된 특수우편수령증이다. 수령증에 의하면 특수우편물의 중량은 1그람이고 우편료는 50원이며, 이 영수증은 손해배상의 청구 기타제증명상에 필요하오니 잘 보관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0년 5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