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77년 5월 19일 '11회 대통령배 고교야구 결산' 관련 기사로 제11회 대통령배쟁탈 전국 고교야구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가 우승했다는 내용이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행사일정표와 예산내역, 부여군수가 집행위원을 추대하는 공문과 집행위원회 명단을 수록함
1962년 2월 24일 계룡국민학교에서 제43회 졸업생 신갑승님에게 발행한 상장이다.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 담긴 상장이다.
보덕일지는 1955년 무릉동에 살았던 남궁화의 일지이다. 남궁화는 기증자 남궁운의 부친으로 일지명에 기록된 보덕은 그의 호(號)이다. 남궁화(南宮和, 1922∼1996)로 본명은 남궁향(南宮响)이며, 공주 무릉동(武陵洞)에서 태어나 자랐다. 22살에 옛 연기군 전의면에…
백제문화제 추진계획과 예산승인건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백제문화제선양위원회 위원명단 수록
호남고속철도 『천안분기 공주역사 건설』 당위성
1997년 정안초등학교 다목적 강당인 정혜관의 개관을 기념하기 위해 교장이 작성한 축사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소화 3년(1927년) 조선 총독 야마나시 한조(山梨半造)의 명의로 발행된 산림양여(讓與)허가증이다. 충청남도 공주군 탄천면 가척리 46번지 일대의 산림양도를 허가하였다.
1960년대 발행된 공주교대 본관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뒷면의 설명에 의하면 본관 건물은 1938년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설립으로부터 이른다.
공주향교 전교 최병기가 이인면 오곡리에 사는 이건표에게 보낸 편지가 담긴 봉투이다.
2004년 정안초등학교의 장학지도 내용문서이다. 학교연혁과 시설현황 등을 비롯한 간략한 소개와 더불어 정안초등학교가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특색있는 교육들과 시정사항 등이 적혀있다.
공주시 마을조사기초자료 중 온천1리와 무릉동 일원에 대한 정보를 발췌한 파일이다. 본 자료는 공주시에서 발주한 5도2촌사업의 기초조사 과정 중 수합한 자료를 모아 철해둔 파일로 추정된다.
충청남도교육회에서 추최한 현장교육 연구대회에서 3등을 차지하였음을 표창하는 상장이다.
1956년 공주중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7,8,9월 간 3개월분의 사친회월회비 일금 삼천삼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중학교사친회장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부여군수가 백제문화제 부여군 행사를 군민이 주도하는 성격으로 바꾸는 하자는 의견에 따라 조직에 대한 성격 논의가 필요하여 총회를 개최하겠다는 내용
1971.12.09,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된 제28차 이사회 속기록이다. 당시 원장 임기만료에 따른 신임 원장 선출절차가 진행되었으나, 이관용 원장이 다시 선임되어 사실상 유임되었다. 나아가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 예산서 심의도 진행했다.
공주대학교에서 학교 홍보를 위해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인문사회과학대학 앞 화백나무 숲에 소복히 쌓인 설경을 담고있다.
1960년 공주고등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제3기분의 납부금으로 일금 육천구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고등학교 수입원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납부 내역은 수업료와 사친회비 명목이다.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