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0년 초반 민족통일을 염원하는 뜻에서 계룡면 입구에 장승을 건립하는 모습이다. 해당 장승은 현재 사라진 상태이다.
2012년에 고고학으로 본 웅진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백제문화학교 시민학술세미나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 (87)
공주 출신으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사진을 취미로 하여 다양한 생활사 자료를 남긴 지인준 기증자의 사진이다.
1978년 10월 25일 제24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서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관악대의 모습이다. 당시 서막식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렸다.
마곡사에서는 경인년 석가탄신일(5월 21일)을 기념하기 앞서 등접수를 시행하였고, 사진이 촬영된 5월 16일에는 많은 연등이 접수되었다. 사진은 연등으로 제작된 마곡사 연꽃선녀 모습이다.
마곡국민학교와 가교2리에 위치한 춤다리마을이 문화 교류나 친선 등을 목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는 제도인 '자매부락' 결연식을 맺은 이후의 모습이다. 좌측 순경 옆에 정장을 입은 남자가 마곡국민학교장으로 보이며, 사곡면내기관장들 대부분이 참석하여 결연식을 함께한 것을 볼…
1986년 공주문화원에서 주최하여 공산성에서 진행된 제2회 공주 관내 초중고교생 문화재 애호 글짓기 및 사생대회 입선인 시상식 진행모습이다.
마곡국민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사곡면에 위치한 향토문화재인 마곡사를 미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자료 기증자가 금강봉사회 취임식에 참석한 모습이다.
1966년 반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음악시간을 맞아 선생님의 반주에 맞춰 학생들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2013년 찾아가는 백제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이다.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1960년대 중후반 공주 시내의 야경 모습이다.
금강에 위치한 나루터에 배가 정박해 있는데, 나루터의 정확한 위치는 확인하기 어렵다. 나룻배는 트럭 한대를 싣고 있으며, 나루터 입구에 당시 공주문화원장 이관용씨가 서 있다.
1954년 건축된 도계리 대교교회를 배경으로 촬영한 교인들의 단체 사진으로, 교회 건물은 1954년~1984년까지 사용 후 재건축되었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자습실 사진이다. 칸막이 책상에 학생들의 물품이 놓여져 있고, 책장에는 수험서들이 가득 꽂혀져 있다.
운암간이학교 6회 졸업사진이다. 사진 하단에 (소화(昭和))16.03.연도가 기재되어있다. 본교 건물을 배경으로 선생님도 함께 사진을 촬영하였다.운암간이학교는 1934년 호계공립보통학교 부설운암간이학교로 인가를 받아 운영되었며, 1947년마곡국민학교로 재인가를 받아…
이 사진은 일본 공주회 회원 마쯔바야시 토오시씨가 1989년 10월 공주를 방문하였을 때, 자신의 부친이 조선식산은행 공주지점장으로 근무하였던 추억을 떠올리며 당시의 제일은행 공주지점을 촬영하였다. 해당사진은 제일은행 공주지점 내부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