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10년 3월 촬영한 영명학교 제3회 졸업생들의 단체사진이다. 1910년 3월 거행된 제3회 졸업식에서는 보통과 6명, 2년제 특별 중학 수업생 1명이 졸업하였다. 사진 속 인물은 왼쪽부터 안성호, 김성만, 박준익, 송원돈, 안무성, 이일달, 박원규이다.
효포국민학교 학생들이 국립박물관 공주분관에서 찍은 단체사진이다. 이 박물관은 충남도청의 옛 건물인 선화당을 활용한 것으로 지금의 충남역사박물관 자리에 있었다. 효포국민학교는 1946년에 계룡초등학교 효포분교로 설립되었다가 1949년 9월에 효포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공주새마을운동 - 동계 새마을영농단지 임원반 교육(20)
1980년 발행된 공주 관광 안내 책자에 수록된 갑사 동종의 모습이다.
1969년에 중앙공원(앵산공원)에서 봉황국민학교 6학년 담임선생님들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1991년 귀산국민학교에서 열린 귀산국민학교 총동창회의의 모습이다.
교내에서 진행한 새마을운동 관련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공주여자중학교는 1928년에 공주고등여학교로 개교하였고, 두 차례의 학제 개편 후 1977년에 공주여자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1979년에 현재의 위치인 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1.06.04.~06.05. 개최된 공주고등학교 제2회 봉황 축제 사진으로, 교내 전시회가 열린 모습을 촬영하였다. 교실에 학생들이 작업한 그림과 십자수 등이 보기 좋게 책상 위에 세워져 있고 학생들이 이를 관람하고 있다.
마곡국민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사곡면에 위치한 향토문화재인 마곡사를 미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공주중학교에 재학중이던 차시헌(車始軒) 학생이 본교 근로보국대를 마친 것을 증명하는 수료증을 촬영한 것이다.
1970년대 공주사대부고 학도호국단 학생들의 모습이다. 학도호국단 시간에는 교련복을 입고 국기가 교기를 메고 시내를 행진하거나, 카빈소총, M16소총의 모형을 들고 제식훈련과 총검술을 배우기도 했다. 쉬는 시간이면 총검으로 친구들과 장난을 치기도 했다. 총을 든 학생…
2004년 12월 공주시 사곡면 회학리 마을의 범죄없는 마을을 인증하는 충남도지사 및 대전지방검찰청검사장의 현판이다. 1984년 1987, 1989, 1990, 1992, 1993년도 인증현판이다.
자연보호운동의 일환으로 대통사지 주변환경의 정리를 진행하고 있다. 이인면,탄천면,계룡면,반포면 4-H 연합회가 참여하였다.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큰 통에 감긴 실이 구멍을 통해 나오는 장면. 정경은 실을 1차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공주학연구원 아카이브팀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한 초여름 금강의 모습이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1년 공주금학국민학교에서 마을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새마을교실을 열어 생활과 관련된 강의 진행하였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과학정보관 사진이다. 외부에서 촬영한 것이며, 앞쪽으로는 자동차와 트럭이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