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웅진동에 위치한 다래원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의 금귀걸이(국보 제156호)이다. 제17회 백제문화제가 열린 1971년은 무령왕릉이 발굴된 해이기 때문에 당시 백제문화제에서는 무령왕릉유물특별전시회가 진행되었다.
1970년대 공주군 이인면 발양리 수작골에서 열린 자료제공자 친구의 전통혼례모습이다.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졸업식 장면을 촬영하였다. 학생이 졸업장을 받기 전 교사의 덕담을 경청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의 계룡공립보통학교의 체육시간에 럭비 경기를 하고 있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진 뒤쪽으로는 학교로 추정되는 건물과 신작로가 보인다.
1959년 공주문화원에서 주관하여 진행한 4H클럽의 교육활동 모습이다. 당시 4H클럽은 학생이 중심된 활동이었음에도 공주시민의 참여도 가능했다. 해당 클럽은 본 자료와 같이 공주문화원 내에서 진행한 교육활동과 더불어 김장실습이나 된장담그기 증 다양한 실습도 병행했다.…
탄천중학교와 탄천면 국동리의 새마을운동 자매결연 행사사진이다. 탄천중학교에서는 국동리에 목욕솥과 배구네트를 기증하였다.
계룡산 중턱, 바위로 된 못(웅덩이)으로 숫용추와 더불어 앙용이 승천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맑은 물과 초록의 물색깔이 신비로움을 느끼게 한다. 암용추 역시 군사보호지역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있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정구부의 모습이다. 본 자료 속 정구부원 앞에 늘어선 우승컵은 1956년 전국대회에서 우승하여 수여받은 것이다.
1981년 귀산국민학교 제36회 졸업앨범에 실린 새마을 가을운동회 사진이다. 귀산국민학교의 가을운동회는 우성면에서도 손꼽히는 마을축제로, 학생들의 손을 잡고 교문으로 들어오는 학부모들의 모습이 보인다. 교문 위에는 '새마을 가을운동회'라고 적힌 커다란 플랜카드가…
2011 계룡산 산신제 셋째날 웃다리풍물 (5)
1985년 한 해동안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여성문화강좌의 한 장면이다. 본 자료는 서예교실에 참여한 수강생의 모습이다.
2010년 56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8년 제54회 백제문화제기간의 공주시 부스의 홍보 모습이다.
1968년 제14회 백제문화제에 참여한 공주여자고등학교 재학생의 모습이다. 본 자료는 백제문화제 기간 중 열린 시가행진에 참여한 공주여고와 관내 학교 재학생의 모습이다. 당시 시가행진에는 백제왕으로 분장하거나 왕비로 분장하는 등 다채로운 모습으로 변장했었다.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