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18년 12월 10일부터 공주대학교 대학본부 1층 로비에서 시작된 제1회 2018 공주학자료공모전 전시회 '시민이 만든 공주의 옛 모습'에서 공주대학교 총장대행 박달원 총장대행이 월요일 회의를 마치고 관계자와 함께 전시를 관람하는 모습이다.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1책에 수록된 공주 계룡산 도요가마 사진이다.
우성면 동곡리 본가에서 기증자 부모님의 회갑잔치가 열렸다.
1987년 3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5년 4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0년 발행된 공주여고 동창회보 청란에 기재된 소화 19년(1944) 공주여고 입학생의 단체사진이다.
1987년 제33회 백제문화제 당시 중동사거리에 있는 점화된 성화대의 모습이다.
1964년도 공주 금벽국민학교 제15회 졸업기념 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본교사와 그 창문에 매달려 밖으로 얼굴을 내밀고 있는 6학년 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졸업 사진 하단에 '우리 휴식 시간에 한장면'이라는 캡션이 있었다.
1954년 공주문화원 준공식 사진이다. 완공된 건물 앞에서 테이프커팅식을 갖고 있다.
1965.11.01에 공주군 의당면 월곡리 103번지에 건축된 공주경찰서 의당지서의 모습이다.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시대 도공들과 이삼평이 자기를 구워왔던 가마터이다. 현재 계단시 가마터로 재현해 놓은 모습이다.
1950년대 금강교 복구 이후 다리 중간에서 기념촬영을 한 동기의 모습이다.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공주를 방문하여 이동중에 촬영한 사진이다. 공산성 부근에서 원도심으로 들어오는 지금의 웅진로에서 촬영된 사진으로 추정된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8 계룡산 산신제 무가식산신제례 (민속보존회) 작두타기 (7)
윤영태 선생이 공산성에서 친구들과 함께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좌측부터 이재철-유희목-윤영태로 도열하여 촬영했다. 해당 사진은 공산성 공북루의 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전면부에 수록된 전후 복구된 교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 속 교사의 모습은 일제강점기때 건축된 본관 건물이 한국전쟁으로 멸실되자 옛 학교공소를 본관으로 사용했다.
1990년 진행된 국민과의 대화행사의 모습이다. 행사장 무대에는 '희망찬 90년대 웅비하는 2천년대, 더넓은 세계로 더 밝은 미래로'라는 표어가 쓰인 광고대가 세워져 있다.
공주학연구원 아카이브팀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한 초봄의 금강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