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야외교육활동(35)
제3차 발굴조사에 사용할 장비들을 옮기고 있다. 당시 군용 천막을 창고로 사용하고 집 터를 다져 현장 사무실을 지어 생활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황금직물 공장 내부 전경.
2010년 4월 10일 토요일 충남역사박물관 벚꽃동산에서 진행된 공주 춘추서당 어린이 한문외우기 경연대회 모습이다. 참가인원은 30명, 지도교사는 10명이었다.
1999년 11월 삼흥고속에서 진행한 친절-봉사 추진대회의 홍보 현수막 모습이다. 당시 공주시내와 각 읍면 단위 게시대에 삼흥고속의 캠페인 홍보 현수막을 부착했다. 본 자료는 유구읍 유구천 부근에 위치한 공공게시대 현수막의 모습이다.
2013년 제35회 백제문화 콜로키움에서 강연자인 한성대학교 이재석 교수가 인사말을 하는 모습이다.
제73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1989년 관불산 가을소풍 사진이다. 관불산은 유구읍 녹천리에 위치한 유구국민학교의 뒷산으로, "관불산 높이 솟아 구름 두르고"로 시작하는 유구국민학교 교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959.08.11, 공주문화원의 신축청사 공사를 위한 기공식 행사장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뒷편으로 지금은 화재로 사라진 옛 공주성결교회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78년 제24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의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지금의 작은사거리이다.
관음봉에서 바라본 계룡산의 전경이다. 늦가을 단풍이 지고 초겨울로 계절이 바뀔 무렵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1984년 공주문화원에서 10/15~11/13일까지 제1회 공주 관내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애향심을 주제로 백일장과 글짓기 대회를 진행했다. 본 자료는 해당 대회에 입상한 학생에게 시상식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1954년 공주문화원 준공식 사진이다. 군악대가 공연하고 있다.
1990년 귀산국민학교 자모 체육대회에서 '장한 어머니 시상식'이 열렸다. 수상하고 있는 신웅리 강충길 자모님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