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첫째날(10월 13일) 무령왕릉에서 진행된 4왕추모제의 모습이다.
1983년 공주세무서직원들의 갑사 나들이 사진이다.
굿당은 대체로 큰 바위를 뒤에 두고 짓는다. 바위 사이로 흐르는 암각수를 용수라고 칭하며, 그곳을 용궁으로 일컫는다. 본 사진은 계룡산 양화리 계룡정사 용궁의 모습이다.
1999년 10월 16일 토요일 저녁 7시에 곰나루 메밀회관 광장에서 진행한 공주고등학교 제52회 졸업생 졸업 기념 행사 관련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교사들이 내빈석에 앉아있다. 사진 속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에 앉아있는 인물이 교사 유병학이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0년도 제17회 공주여자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현재 금학동에 위치한 공주여고의 교문 출입로 전경이다. 교문 위 쪽으로 플랜카드처럼 '충무정신 이어받아 충남교육 건설하자'는 문구가 부착되어 있고 그 아래로 공주여자고등학교의 심볼이 걸려 있다.
1987년 08/03~13 동안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청소년 문화강좌 및 충효교실의 모습이다.
1990년 귀산국민학교 신웅리 애향단이 우성면 신웅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뒷면에는 '고학년이 중심이 되어 매우 잘하고 있어요.'라고 적혀있다.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위치한 조선 후기 김원발의 처 성주이씨를 기리는 조선 후기의 정려이다.
2012년에 고고학으로 본 웅진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백제문화학교 시민학술세미나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자료제공자가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친구들과 금강제방에서 교복을 입고 촬영한 사진이다.
1974년 공주문화원 신년교례회 모습이다. 본 자료는 교례회 중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제73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1989년 유구국민학교 운동회 사진이다. 운동장에는 한복을 입은 여학생들의 강강수월래 공연과 이를 지켜보는 많은 마을 사람들이 자리했다.
1987년 3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중동성당에서 졸업앨범에 들어갈 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공주여자중학교는 1928년에 공주고등여학교로 개교하였고, 두 차례의 학제 개편 후 1977년에 공주여자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1979년에 현재의 위치인 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금성동에 위치한 음식점 해상공원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신관동에 위치한 청운본가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사진촬영 추정연대(1960년대). 기증자와 부모님, 하숙생들이 공산성 나들이를 가 공산성(토속식당 위쪽)에서 공주 시내 전경을 바라보며 찍은 사진.
기증자의 가족들이 공산성으로 놀러간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시기는 1950년대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