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갑사 내에 위치한 삼성각의 모습이다.
1967년 반포국민학교 제44회 졸업기념 사진첩이다. 담임선생님과 6학년 3반 학생들이 운동장에서 사진을 찍었고, 사진 하단으로는 학생들의 이름을 적어 놓았다.
1974년 우성초 제44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수학여행을 떠난 재학생의 모습이다.
1985년 공주문화원에서 개최된 한국미술협회 공주지부전시회의 전시장 모습이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㉑ 금강자연미술센터의 모습.
공주군농촌지도소 우성지소에서 관리하는 벼품종 비교지도구역이다. 소재지는 공주군 우성면 단지리이고, 경작자는 '윤복근', 담당지도사는 '최봉규'이다.
2012 국고개역사문화축제 전경
1984년 반포국민학교 제61회 졸업기념 사진으로, 학생들과 교직원이 운동장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국민학교는 1921년 반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1957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공주교대 본관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1988년 월산초등학교에서 실시한 새마을운동 실천활동의 모습이다. 본 자료는 국화를 삽목하는 재학생의 모습이다.
제공자는 29세때 혼인하였는데, 본인의 집인 신풍면 봉갑리에 자택에서 전통혼례식을 치뤘다.
오사카부 가시와라 시민문화회관에서 곤지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가 공동개최한 '백제왕족곤지도래1550주년기념국제심포지움'에서 공주대학교 서정석 교수가 곤지왕시대 전후의 백제횡혈식석실분'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사진은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폭파되었던 금강교의 1956년 9월 29일 준공식 사진이다. 금강교는 그 당시 충남지방은 물론 호남일대를 통하는 여러 지방도로와 국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였다. 다리길리 총 513m로 완공되기까지 총공사비 2억 2000여만원과…
공주 충열사내에 위치한 정려와 정려각의 모습이다.
2013년 찾아가는 백제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이다.
1972년 계룡국민학교 제50회 졸업앨범 속 사진으로, 계룡산으로 나온 학생들의 모습이다.
1989년 35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첫째날 행사전경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