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일본 구마모토현 나고미정의 에다후나야마고분에서는 백제식 유물들이 다수 발결되었다. 특히 백제왕실과 관련된 금동식리, 금동이식,금동관 등이 있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셋째날 충청도 설위설경 (31)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14년 60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6년 공주문화원의 신년교례회 모습이다. 단상 위에 부착된 총화단결이란 문구가 시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1989년 12월 18일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내 고장 사랑 및 경노효친사상에 관한 관내 초중고교 글짓기 백일장에 대한 시상식 모습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공주시의 대표 특산물 중 하나인 우성 오이와 박스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5년 4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6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2반의 공산성 봄소풍 기념 사진이다. 시목동과 장기대나루가 보이도록 촬영하였다.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SubMain.do?parkId=120200&parkNavGb=epil_photo&menuNo=7020086
1987년 월가국민학교의 교육목표 추진 실적을 기록한 앨범의 내지이다. 초록종이에는 '건강에 힘쓰는 어린이'라는 소제목과 파란종이에 구체적으로 '기초체력의 육성'이라는 실천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중앙 및 하단에는 이닦기 교육을 받고 있는 2학년 1반 어린이들의 사진과…
1982년 공주금학국민학교 가을운동회에서 6학년 학생들의 부채춤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운동장을 너머 중학동 일대를 학교 옥상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용실⑨ 역시 공주대 입구. 감동에 이어 감각. 운을 맞추고 있다.
공주새마을운동 - 어린모 이앙 시연장(1)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내 분수대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1968년 공주여자고등학교 내에 위치한 충무관의 모습이다. 당시 학교에서는 충무공 이순신의 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력양성을 모토로 교육활동을 진행했다. 따라서 교내에 충무관과 충무도서, 이순신 제독 초상 등 다양한 관련 활동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