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95년 4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한여름 오후, 이창곤씨 등 너머로 햇살이 비추이고 길게 내려 앉은 그림자가 곧 마을을 떠나야할 이창곤씨의 시름을 대신하고 있는 듯.
2006 계룡산 산신제 어린이 관객들
공산성 가족나들이를 나갔을 때, 현재 공산성 쌍수정 앞쪽 추정왕궁지에서 기증자의 부모님이 사진을 찍었다.
공주의 도서관⑤ 공주시립도서관(웅진관)의 로비 전시회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4년 공주중학교를 졸업한 자료 제공자가 학교 교정에서 친한 친구들과 함께 촬영한 졸업 기념 단체 사진이다. 1951년 학제 개편 이후 공주고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교사 및 학교 부지를 같이 사용하게 된 공주중학교는 공주고등학교의 옛 기숙사 3동을 개조하여 본교사로…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8년에 무령왕릉 주변과 인근 관련 풍경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제66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81년 유구국민학교 교내 체육대회의 차전놀이 경기 장면이다.
1987년 08/03~13 동안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청소년 문화강좌 및 충효교실의 모습이다.
2003년 충청남도에서 기존의 산제단 비석을 천황봉 아랫편으로 40m 이전하고 그 자리에 천단 비석을 새로 설치한 것이다.
1987년 제33회 백제문화제 전야제 행사 때 중동사거리에서 진행된 의 본선 무대이다. 참가자는 본선에 오르기까지 1차 서류심사(용모, 품행 평가), 2차 예비심사(걸음걸이, 인사 및 예절, 건강 등 평가), 3차 공개심사(장기자랑 통한 인기투표)를 걸친다.
2014년 유구문화예술마을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유구읍 중앙2길 거리 300m를 섬유문화거리로서 벽화를 제작하였다.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국문과 졸업생 일동의 단체사진이다. 자료 속 배경에는 당시 봉황산 아래에 위치한 학교 교사의 모습이 담겨있으며,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교사를 복구하는 모습도 엿 볼 수 있다.
1988년 10월 22일 오후 2시부터 공산성 쌍수정 광장에서 열린 제3회 문화재수호글짓기백일장 및 사생대회 현장의 모습이다. 공주문화원 주최로 공주군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학교 정문 앞에서 촬영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