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8 계룡산 산신제 황해도 만구대탁 굿 (1)
1993년에 촬영한 금성동 일대 공산성 앞 골목의 모습이다.
2014년 60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함풍 5년(1855) 3월 4일에 작성된 마곡사심검당상량기의 사본이다.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산성동에서 중동사거리로 넘어가는 웅진로이다.
공주시 유구읍에 위치한 해주오씨 입향조 오윤성의 묘소이다. 자손들의 묘소가 차례로 위치하여 오랜 동족마을의 모습을 보여준다.
제66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81년 유구국민학교 교내 체육대회에서 부채춤 공연이 진행중이다.
1994년 11월 13일 공주고등학교에서 진행한 1994년도 공주중·고등학교 총동창회 공주지부 정기총회 관련 사진으로, 공주중·고등학교 총동창회원들이 공주고등학교 강당에 비치된 의자에 앉아있다.
2013년 백제문화학교 야외수업 답사프로그램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계룡국민학교 제53회 졸업앨범에 실린 6학년 1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여학생들이 본관을 배경으로 졸업사진을 촬영하였다.
1957년 반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제34회 졸업생들과 선생님들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기념사진이다. 한편 반포국민학교는 1921년 반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하였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상신,…
2012년에 고고학으로 본 웅진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백제문화학교 시민학술세미나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백제문화제, 축제에서 항공촬영을 위해 한국일보에서 사용한 비행기이다.
1970년도 제17회 공주여자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학생들의 단체사진이다.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금강교 진입로 제방에서 트러스트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다. 당시 금강교 진입로에 게재된 플랜카드 일부가 보인다.
정확한 건축연대는 알 수 없으나 반죽동은 충남도청이 위치했던 곳으로 일제시기를 거쳐 최근까지 ‘공주군 1번지’로서의 역할을 했던 곳이다. 시청, 법원, 검찰정 등 주위에 있어 당시 주요 인사들의 만남의 장소로 꽤 번창했던 장소였다. 최근 해체되고 식당이 들어섰다.
1963년경으로 추정되며, 국립공주병원(현재 공주대학교 인문사회대학교)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2000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공산성 일원에서 진행한 금강자연설치미술전 개회식 모습이다. 사물놀이 공연을 사람들이 둘러 서서 관람하고있다.
계룡국민학교 제51회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계룡산갑사로 소풍간 기념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계룡갑사 현판이 걸린 본당을 배경으로 학생들과 선생님이 기념촬영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