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62년 9.16~9.17까지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화초전시회의 모습이다. 전시장은 야외에서도 운영되었다.
의당면 수촌리에 위치한 음식점 인정식당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중동에 위치한 맛깔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공주 출신으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사진을 취미로 하여 다양한 생활사 자료를 남긴 지인준 기증자의 사진이다.
2014년 60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새마을사업실천기록 앨범에 기재된 도로미화작업의 사진과 부가 설명이다.
1963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속의 3학년 3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대전지방법원 공주지부 건물을 배경으로 촬영하였으며, 오른쪽 부분의 건물 입구에 대전지방법원의 가려진 현판 일부가 보인다.
1960년대 공주중학교를 졸업한 공주 계룡면 유평리 진무섭님의 학창시절 상반사진이다. 공주중학교 교복을 착용했는데, 교복 카라와 단추는 오늘날에도 사용하는 '공중' 마크가 보이며, 카라깃 좌측에는 학년을 나타내는 숫자 뱃지가 달려 있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⑤ 길 건너편에 역시 고마나루 명승길 안내도가 있다.
1977년 10월 21일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산성 쌍수정 앞에서 열린 여성한글백일장의 모습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기증자가 중동국민학교에 재학할 당시 5학년 반 친구들과 왕촌으로 소풍을 갔다가 그날을 기념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시절의 기숙사 전경을 촬영하였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여자사범학교 정화회 모임 사진으로 사진 속 왼쪽에서 여섯 번째 인물이 정화회 임형진 회장이다. 기증자의 기억이 희미해 모임이 이루어진 장소와 시기는 알 수 없다.
1996년 죽당초등학교 재학생과 교직원이 함께 죽당리 마을정화활동에 나선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 교복을 입고 사진을 촬영한 두 여학생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