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13년 백제문화학교 체험프로그램 활동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제민천 부근 원도심의 공사 및 변화 모습
2008 제54회 백제문화제 연문광장 공주시 공연 예술기획자협회 주최 공연 - 무대 모습 (45)
우금티순국영령추모예술제에 사용된 고사용 돼지고기이다.
마곡국민학교 학생들이 자매부락인 가교2리 춤다리마을에서 마을미화작업에 힘쓰고 있다. 학생들이 부락 내에 있는 잡초를 제거하고 있는 모습이다.
1926년 제3회 반포공립보통학교 졸업 기념 사진이다. 반포공립보통학교는 1921년 오늘날 반포면 공암리에서 개교하였고, 교육령에 의해 반포공립심상소학교,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공주고등학교의 1985년 사진첩의 사진 중 하나로, 1985.04.06. 공주고등학교 교내 화단이 깨끗하게 정리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1952~1961년 사이 최하급 지방행정기관인 읍에 존재하던 의결기관 읍회의 구성원 단체사진이다. 당시 공주읍 의회는 현재의 공주역사영상관 주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사진 속 우측 벽돌 건물이 오늘날의 영상관 건물로 추정된다.
용문서원의 모습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가 제11회 대통령배에서 우승했을 당시를 촬영한 것이다. 공주고등학교 야구부의 사진과 연혁을 볼 수 있다.
1986년 공주문화원에서 새해를 맞이하여 진행한 신년교례회 모습이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 (30)
2019년 공주 문화재야행의 행사 중 '제민천 청춘 고고장'의 모습이다. 모던걸과 모던보이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 코너는 공주 문화재야행의 명소에서 정해진 시간에 메들리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플래시몹의 일종이다.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신곡마을의 전경이다. 삼태기형 골짜기 안에 56호의 가구가 아늑하게 자리하고 있다.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50년대 기증자의 큰어머님과 큰형님이 공산성 석빙고가 있는 언덕 정상부근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좌측에 쌍수정과 우측으로 연미산이 보인다.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모습이다. 중동사거리에서 공주농업고등학교 학생들이 농악놀이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