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공주문화원 주최로 1990년 7월 7일에 제5회 공주시 교향악단의 정기연주회가 공주대학교 음악당에서 거행됐다. 이관용 공주문화원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사회시간으로 지구본의 경위선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는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1974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학생의 금강 나들이 모습이다. 멀리 지금의 공산정인 유신대(維新臺)가 보인다. 유신대는 박정희 정권때 만들어진 것으로 유신선포 이후 유신대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가 유신정권의 마감이후 이름 없는 전망대로 불렸다. 그후 2009년…
공주새마을운동 - 벼 신품종 시범단지 종합평가회(4)
2013 백제문화학교 관광산업관련 종사자 현장답사 모습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중앙극장에서 오후2시~5시30분까지 진행된 민족통일 대토론회
2008 제54회 백제문화제 연문광장 공주시 공연 예술기획자협회 주최 공연 - 군사 퍼레이드(15)
탄천중학교와 탄천면 국동리의 새마을운동 자매결연 행사사진이다. 국동리 담당 면 지도자가 나와 "새마을운동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흥패를 좌우한다"라는 내용의 연설을 하였다.
1989년 귀산국민학교 학생들이 우성면 금암교에서 화교 부근의 길가에 꽃을 심어 꽃길을 조성하는 '새마을 꽃길 조성'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봉황동에서 치뤄진 기증자 외할아버지인 오창선(吳昌先)의 장례식이다. 오창선은 공주의 유지로, 일제강점기에 욱정에 있는 공주교(지금의 대통교) 앞에서 미곡상을 운영하였다. 그는 미곡상에서 연초도 취급하였는데, 1939년에는 우수한 판매성적으로 공주연초판매소 우량회원…
금성동에 위치한 음식점 시장정육점식당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교내에서 진행한 새마을운동 관련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공주여자중학교는 1928년에 공주고등여학교로 개교하였고, 두 차례의 학제 개편 후 1977년에 공주여자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1979년에 현재의 위치인 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78.11.11. 개교 56주년 웅진예술제 관련 사진으로, 학생들이 공주극장에서 백제 무령왕에 관한 연극을 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⑯ 이제 연미산 올라가는 길이 보인다.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축하행사 모습이다. 공주고등학교 야구부는 199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57년 12월 5일 제20회 음악감상회의 한 돌 맞이 행사의 모습이다. 당시 주세페 베르디의 음악이 연주되었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⑱ 허름하지만 그래도 이 길에는 인도가 있다.
1970년대 공주사대부고 학도호국단 학생들의 모습이다. 학도호국단 시간에는 교련복을 입고 국기가 교기를 메고 시내를 행진하거나, 카빈소총, M16소총의 모형을 들고 제식훈련과 총검술을 배우기도 했다. 건강한 체력과 정신 함양을 위해 학교에서 공주 관내 곳곳을 행진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