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51회 백제문화제 회의 안내 공문이다. 일시, 장소, 회의내용, 참석대상이 적혀있다. 뒷장에는 공주시백제문화 선양위원회 명단이 첨부되어있다. 직위, 소속이 적혀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5년 9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1957년 농지개혁사업특별회에서 발행한 상환고지서 및 영수증서이다. 고지서에 의하면 농지개혁법 제13조 및 시행령 35조에 의해 단기 4290년 11월 30일까지 금융조합에 농지대가개정 상환액을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좌측의 영수증은 공란으로 남아 있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세부추진계획과 식순별 세부 행사진행에 대한 설명을 수록함
윤여헌 교수가 일본에 있는 우치다 후미타카시(內田 文喬)에게 보내려던 연하장 카드이다. 날짜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언제 보내고 했는지 알 수 없다.
2012년 윤여헌 교수가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지방기록물 연구와 보존 기여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받게 되었다는 보도자료 원문이다. 이외에 윤여헌 교수의 이력과 향토사학자로서의 삶, 나태주 공주문화원장이 인터뷰한 자료도 있다.
8~9월 주요사업 추진계획
1963.07.11, 공주문화원 주최로 문화원 내 전시실에서 진행된 제96회 음악감상회 안내문이다. 감상곡으로는 전주곡 '독신의 오후'와 고향 묘사곡 '바다', 현대음악인 전자음악 3곡이 연주되었다. 아울러 본 감상회에 참여하기 위해선 회비 20원을 납부해야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형법과 헌법의 논점을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메모에는 형법은 형벌의 목적, 인과관계를 논하며, 헌법은 헌법개정의 한계, 권력분립을 논한다라고 쓰여 있다.
백제문화제집행위원회가 주관하는 제 20회 백제문화제의 집행위원명단, 행사비 수입부 및 행사비 지출부, 행사장소와 개요, 행사일정을 수록함
1968.08.09, 공주문화원 옥상에서 진행될 영화의 밤 행사 초청장이다. 08/08에 진행된 주부 영화감상시간의 연장선에서 진행된 행사로 일본 풍물을 즐길 수 있는 일본 영화 두 편이 상영되었다.
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충청남도에서 주관하는 제 26회 백제문화제 대한 개선기본계획안과 백제왕제, 삼충제, 궁녀제, 삼산제에 대한 세부시행계획과 배치도를 수록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제1집 우성면 부전동, 제2집 국동리 산신제, 제4집 장기면 세천리, 제6집 계룡면 내흥리, 제8집 정안면 월산리가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영천사의 무릉동천, 영천복지, 곽영담과 같은 지명이…
1961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제1기분 가옥세 등의 영수증이다. 일금 육백삼십원을 영수하였는데, 가옥세, 공부과세, 가옥세할 등 비목별 상세 금액을 적는 란은 비어 있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1956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매입양곡수매증이다. 전표 상단에는 날짜와, 주소, 납부자의 인적사항 등을 기재할 수 있고, 전표는 곡량(穀糧)과 등급 등을 상세히 기재할 수 있는 란이 있다. 농업은행공주지점 계룡출장소의 출납도장이 찍혀 있다.
남궁화가 1975년 공주, 서울 등 각지에서 쓴 일지이다. 현대출판사에서 제작한 기성품 일기에 기록된 1975년 일지에는 각 월마다 월중예정표를 성실하게 작성하고 하루일과를 기록하였다. 부록의 내용은 기입하지 않았다.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463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