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67.10.20,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제3차 임시총회 회의 속기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임기가 종료되는 이사진을 새롭게 선출하기 위해 임시총회를 소집했다고 기재되어있다. 따라서 임총에서는 임원 선출을 위한 협의가 진행되었다.
2006년 포상추천 공적심사위원회 회의자료 표지
백제문화제집행위원장이 백제문화제 집행책임위원회 개최를 알리는 공문, 백제문화제를 백제문화재로 기재
1988.02.27,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15대 이사장 취임식에서 발표된 문화원 현황보고문이다. 간략한 공주문화원의 연혁과 함께 수상실적 등이 기재되어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2년 11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州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서울에 사는 파평윤씨 문중의 윤시병 씨가 윤여헌에게 보낸 서신이다. 파평윤씨 종친회 문제에 관하여, 회장 선출과 모든 종사에 관하여 상의할 것을 구하는 내용이다. 봉투는 19.8X9.8크기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진영장(鎭營將) 관련한 기록이다. 1895년 관제 개혁으로 인해 진영장이 폐지되면서 병사사무와 포도사무, 치옥사무가 어떻게 개정되었는가에 대해 약술되어 있으며, 기타 변천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광보전 주련에 관한 것이다. 김구 선생이 광복 후 마곡사를 찾아 대광보전 주련에 적혀있는 '물러나와 세상 일을 돌아보면, 마치 꿈 속의 일과 같네'라 적힌 글귀를 보고 감격하여 그 때를 회상하며 향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고 전해진다.
1963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全)기분 재산세와 소방세 영수증으로, 일금 일백팔십팔원을 청구하였다. 영수증에 의하면재산세는 일백칠십칠원, 소방세는 일십일원이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계룡국민학교에서 단기 4291년도 계룡국민학교재건비로 일금 천삼백원을 청구하였다 내용의 영수증이다. 납입자인 민병영 님의 성함과 계룡면 금대리까지 표기된 주소가 기재되어 있다.
날짜 추정
한국웅변협회 주최로 진행될 지방순회 강연회를 04.09 공주사범대학 강당에서 개최함을 알리는 공문이다.
1964년 공주문화원에서 10/10~11/10 한 달 간 공주 관광의 달을 맞이하여 공주 관광에 대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하는 문서이다.
1982년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서 주최한 교육감기 쟁탈 1차 평가전에서 공주금학국민학교 선수들이 여국 연식정구부문 단체2위를 기록하여 받은 상장이다.
정안국민학교 제6학년 한산영복학생의 개근상장으로, 일제강점기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창씨개명된 성명이 적혀있다. 학년 간 개근을 표창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공주 석장리의 구석기 유적에 관한 글이다. 공주 석장리 유적의 학사적 위치와 석장리 유적 사진이 실려있다.
새마을운동 제3차 이사회 회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