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식사(式辭) : 지인준 서무과장 퇴임식
계룡국민학교에서 도서대금으로 일금 600원을 청구한 영수증이다. 계룡국민학교 39회 졸업생인 진무섭님에게 단기 4290년 11월 8일에 발행하였으며, 당시 학년/반인 3학년 2반과 성명이 영수증에 기재되어 있다.
1963년 학생의 날에 개최할 공주문화원의 제2회 백일장 개최를 알리는 공문이다. 신청마감 일시와 학생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아울러 본 자료에는 제1회 글짓기대회 아동부 단체 우승학교인 공주교대부초에 수여된 우승기 반납을 알리는 안내문도 삽입되어 있다.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윗편의…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사대부고 부설 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3년 8월분 월급봉투로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이인공립보통학교에서 발급한 통신부이다. 통신부는 생활통지표의 옛 이름이다. 통신부에는 재학증명서와 수업증서가 포함 되어 있다. 첫 장에 "소화4년도", "이인공립보통학교통신부", "제20호"가 기재되어 있고, 그 아래로 학교장의 이름과 검사를 확인하는 도장, 담당자의…
백제문화제집행위원회가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인사말, 공주와 부여의 행사일정을 수록함
1964년 10월 25일 창립된 공주 쌍수계의 계칙집이다. 약 15페이지 가량으로, 전문(前文)과 계칙, 계원명단과 주소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칙에는 계의 사무소, 가입제한 요건, 각 임원의 업무, 계비(費), 정기회의, 축·부의 시행 범위 등의 내용이…
1982년 충무교육원에서 발행한 교육연수이수증이다. 충무교중등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원의 연수를 증명하는 이수증이며,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연수종별 및 기간 등을 상세하게 적었다.
1951년 공주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상환고지서 및 납입통지표, 영수증이다. 고지서는 토지개혁법 제13조 및 시행령 제35조에 의해 상환액 일금 팔백칠십삼환을 1951년 10월 10일까지 공주금융조합에 납부할 것을을 안내하고 있으며, 납입통지표는 동 내용에 관해 입금되어…
1989년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공주문화원 주최 간담회의 참여자 명단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명 '박정자'에 관한 메모이다. 1974년 발행된 한국지명총람에서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지명 '박정자'와 그 명칭에 대한 유래, 충주 박씨와 밀양 박씨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은적암 인법당에 걸려있는 '충청도공주마곡사은적암관음일위개금상담탱신조문'에 대한 것이다.
무령왕 어떤 인물인가(공주대학교 정재윤)
1989년 3월 1일 대전일보사, 대전직할시 육상경기연맹, 충청남도 육상경기연맹이 공동 주최한 3·1절 기념 제18회 대전직할시 충청남도 내 고교대항 역전 경주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가 장려상을 입상하여 받은 상장이다.
2004년 9월 1일 일본 무령왕교류진서정실행위원회 위원장 우라마루마사루(浦丸護)가 윤여헌 교수에게 보낸 서신이다. 기록에 대한 최종교정을 의뢰하며, 9월 15일까지 답신을 바란다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