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계룡국민학교 제61회 졸업생 오현숙님의 졸업장이다. 본교 6개년 과정을 졸업하여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서기1983년 2월 15일자로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하였다.
1927년도 반포공립보통학교 임월수 학생의 통신부이다. 통신부는 일제강점기 성적통지표를 일컫는 말로, 성적표, 근태표, 신체검사, 통신문 등이 적혀 있고, 축일과 제일, 주의사항 등이 인쇄되어 있다.
1992년 10월 공주 의당면 가산리 산 12-2번지의 핵공장설치를 반대하는 범시군민 결의문이다.
제11회 공주직업소년학교 졸업식에서 배포된 안내서이다. 각종 시상자 명단과 학교 현황 등이 기재되어있다.
1961.11.23, 다방 낭낭에서 진행한 제75회 음악감상회 안내장이다. 감상곡으로 푸치니의 토스카가 연주되었고, 참석 회비로 200환이 징수되었다.
2001년에 발행된 다시 보는 문화유적 복사본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공주의 향토지
어사 박문수의 집터
번길의 묘비
대통사지에는 불교자료관을
1975학년도 정안초등학교 내 제반사항을 알려주는 학교요람 안내서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8년 5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천주교 대전교구에서 1985년부터 1987년까지 실시한 '제1기 공소지도자 교육'을 수료한 계룡면 중장리 신자에게 발행한 수료증이다. 신자는 공주 중동본당의 중장공소 소속의 김영철 바오로 님으로, 수료증을 수여하며 교회발전을 위하여 봉사할 것을 당부받았다.
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일제강점기 1927년 11월 21일 공주를 방문한 고관대작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한 엽서로 공주의 한 민가에서 거주민들과 함께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장남인 공무원 및 사립의 중, 고등학교에 취학중인 학생현황 조사
1996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인 Soft에서 동아리원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마음의 창이란 노트이다.
백제문화 국제학술회의(5~6세기 동아시아속의 백제와 왜)에서 박재용의 「6세기 고대 일본 백제계 도왜인(渡倭人)과 불교 」에 대한 정재윤의 토론문이다.
1967.04.27, 공주문화원 주최로 문화원에서 진행한 제115회 음악감상회 안내문이다. 간단한 초대의 말과 함께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등이 감상곡으로 연주될 예정이라는 안내문이 수록되어 있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2주년 기념집 - 기억의 습작조 인터뷰(이해준)
1980년대 충청남도 농촌진흥청에서 발행한 생산증진을 장려하는 내용의 안내서이다. 생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상세히 적은 내용의 '농사삐라'를 정기적으로 발행하여 농업종사자에게 배부하였다. 90일간 참깨를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며 농촌진흥 및 농가수준 개선을…
1952년 생산된 잠견공동판매전표로 총 일금 팔만육천팔백오십원이 영수되었다. 계산서 상단에는 발행날짜와 영수받는 사람의 주소, 성명을 적는 칸이 있고 그 아래로 잠견의 등급, 수량, 단가, 대금을 상세히 기재할 수 있도록 구획해놓았다.
1960.10.31, 공주문화원에서 공주사범대학 어문학부를 초청하여 진행한 문화강좌의 초대장이다. 당시 행사는 공주중동초등학교 강당에서 진행되었다.
2008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인 Soft에서 동아리원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마음의 창이란 노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