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무령왕과 백제문화에 대해 일본어로 작성한 문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무령왕의 출신에 대하여
2. 무령왕의 인품
3. 일본과의 교류
4. 무령왕릉과 백제문화
5. 마치며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이다. 우측에는 보호자명과 아동명을 기재하는 항목이 있으나, 보호자명은 작성하지 않았다. 납부금은 110원인데, 소맥 몇 두 라는 항목을 지우고, 수기로 금액을 작성하여 도장을 찍었다.
1975.12.27,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36차 이사회 및 총회 속기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회의를 통해 신임 이사장과 원장 선출을 진행했다. 그 결과 원장의 경우 기존의 이관용 원장이 사실상 유임되었다. 나아가 1975년도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도…
2007.11.23.자 조선일보 신문 일부 복사본이다. '故 이방자 여사의 외조카 이케노보 야스코씨 방한'이라는 기사 소제목으로 '일본문화의 뿌리인 백제문화 배우러 왔어요'라고 기사 대제목이 쓰여 있다. 그녀는 당시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의 초청으로 공주와 부여를 찾았다.
1955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영수증으로, 제2종토지수득세인 대지세 일금 이십팔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당나라 시인 이백의 한시 월하독작의 본문이다. 그 하단에는 한시의 간략한 연원과 한시와 관련된 일화를 기록해두었으며, 후면에는 일문으로 그와는 무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2016년 충남만의 으뜸관광상품개발 - 구석구석 보는 무령왕릉 학습지용 스티커
2009년 7월 3일에 국립공주박물관 2층 회의실에서 진행한 국립공주박물관 운영자문회의 식순 안내 문서다. 일시, 장소, 참석인원, 진행순서가 적혀있다.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공주문화원에서 1984년도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하고 심의 가부를 결정하기 위해 진행한 서면결의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北原白秋(기타하라 하쿠슈)의 歸去來(귀거래)라는 작품의 원본과 단어 분석이다.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비로자나불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대광보전에 1788년 조성된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가 제자들에게 법화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담은 후불탱화 영산회상도를 확인할 수 있다.
박용상이 작성한 '선거운동과 표현의 자유'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서론
2. 현행법상 선거운동에 대한 규제
3. 선거와 언론매체의 표현행위
4. 선거와 일반 시민의 알 권리 및 표현의 자류
5. 선거에 관한 표현내용 규제
6. 정치적 언론으로서…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1915년 가설되는 금강 목교가…
갑사의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석가모니불의 삼신불을 모시는 대적전(大寂殿)과 보물 제257호로 지정된 갑사 부도의 모습이다. 엽서 속 설명에는 계룡산 갑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는데, '산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겹겹이 둘러싸여 높이가 약 850m이다. 봄에는 진달래,…
공주중학교 입학고사에 합격하였음을 증명하는 합격증이다. 응시자의 성명과 출신학교, 수험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배다리(구 금강교) 관련 신문기사 이미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