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78년 공주군 우성면 상서리에 거주하는 주민이 노인회원들의 회원비를 관리하기 위해 만든 새마을금고 보통예탁금통장이다. 날짜 및 예탁금 등의 내용을 모두 수기로 기록하고 도장을 찍어 증빙하였다.
공주군 계룡면 향지리의 동향인들이 모여 1961년 조직한 성실친목계에서 보관하던 영수증이다. 산성동에 위치한 풍년상회에서 모임을 위한 청과를 구매한 것을 증빙하였다. 2000년대 초반의 물가를 알 수 있다.
1907년 3월 1일 진세현이 공주 반구곡면의 논을 손승기에게 구입하고 작성한 문서이다. 증인은 이정집이라 적혀있고, 답주와 증인의 수결이 있다. 문서 뒷면에는 ‘萬化谷位土’라고 적혀 있다. /…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보험자와 계약자, 납부방법 등 적는 인적사항란, 병합불입, 주의사항란 등을 기재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2007년 정기 대의원 총회 회의자료
공주향토문화연구회의 1997년 5월 답사 및 월례회 알림문이다. 1장에 일자는 1997.5.22., 출발장소는 공주대학교 박물관, 답사장소: 무릉리, 일락산 마애불로 되어있다. 2장은 설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1.공주향토문화연구 성격에 관한 생각, 연구회 사업…
1989년 공주시 교육청에서 주최한 라디오조립경진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5학년 노영운 학생이 장려상을 수여받은 내용의 상장이다.
1962년 반포국민학교에서 1학년 3반 남신현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학업이 우수하였으므로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의 상장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1974.03.13, 공주문화원에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의 공보관을 초빙하여 '자유중국의 오늘'이란 주제로 강연회를 개최했다. 본 자료는 해당 강연회 초청장이다.
명함(11)
일본고성동호회에서, 한국 산성 견학을 잘 마쳤다고 안부 전하는 편지이다. 맨 뒤 제4쪽은 A4용지로, 감사의 말을 전하는 내용이다.
일본고성동호회에서 한국 산성 견학을 가기 전 송재홍 선생에게 한국의 역사 강연을 부탁한다고 전해달라는 편지이다.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1961년 공주중학교 입학생에게 발행한 교과서 대금 영수서로, 도서비로 일금 오천구십오환을 청구 및 영수하였다. 자료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표기가 있으며 신입생의 수험번호와 성명과 제일은행 공주지점에서 영수하는 금액이 적혀있고, 납입을 증빙하는 도장이 찍혀 있다.…
1996년 7월 13일 저녁 8시부터곰나루 국민관광단지 내 특설무대에서 열린 공주시민을 위한 곰나루 한 여름밤 대축제 '시민화합한마당' 행사 안내장이다. 이 행사는 계룡문화예술회예술단에서 주최하고 공주시 생활정보지 사거리와 공주신문사에서 후원하였다. 이 안내장에는…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관련 메모이다. 무령왕의 출신과 왕통에 대한 사료 검증과 일본서기와의 교차 검증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김재붕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되었는데, 메모의 앞장에 김재붕: 무령왕과 스미다하치만궁(신사)이라고 쓰여 있다. 한편, 메모지에…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금강교 남단에는 학생으로 추정되는 인파가 빼곡하게 서있다. 더불어 오늘날 공산정 위치에 정체를 알 수 없는 한국식의 정자가 조성되어있다. 공산정이 1960년대 후반에 세워지는 점을…
1957년 UN국연한협충남지부에서 발행한 영수증이다. 일금 일백원을 국연한협회비로 영수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영수증 우측에는 금액, 이장확인란 등이 있다.
마트 쿠폰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