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82년 충무교육원에서 발행한 교육연수이수증이다. 충무교중등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원의 연수를 증명하는 이수증이며,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연수종별 및 기간 등을 상세하게 적었다.
1951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대출금 영수증이다. 문서 상단에 날짜 아래로 표가 있는데, 계정과목(計定科目) 아래로 조합원의 인적사항이 적혀있다. 적요(摘要)란에는 가영수증(假領收證), 기한, 대부금 잔액 등을 적을 수 있는 란이 있으며, 가장 우측에는 영수금액 및…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사업예산현황과 연도별 예산대비표, 식순별 세부 행사진행에 대한 설명을 수록함
2001년 5월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에서 작성한 문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역사
2. 백제유민의 항쟁
3. 웅진도독부와 웅진의 호칭
4. 무령왕릉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5. 공주지방의 사원과 불적
6. 부록
윤여헌이 자필로 쓴 서적목록 메모이다. 전체 34권의 책의 저자와 제목이 주로 적혀 있다.
1930년대 공주형무소의 간수들이 사용한 수첩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1983년 문교부 장관 명의로 발행된 교원자격증이다. 관련교육법의 자격기준에 의하여 중등학교 1급 정교사의 자격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 증서를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충청남도 교육위원회 교육감이 분교부 장관의 권한을 위임받아 직인을 찍었으며 검정종별,…
1933년 반포공립보통학교에서 제6학년 임월수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학년 중 1일의 결석없이 과업을 정진하여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다. 상장에 따르면 부상으로 벼루집 2개를 지급하였다.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 건축을 진행했다. 본 자료의 정확한 생산연도는 알 수 없으나 05/27 당시의 신축 기금 명세서를 기재한 내역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마곡사 청련암 아미타회상도에 관한 것이다. 본 자료는 1934년 05월 15일 점안하여 마곡사 청련암에 봉안하였고, 현재는 고방에 소장되어 있다.
1966.07.08,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차 임시 총회 회의 속기록이다. 임시총회에서는 제1차 정기총회 회의록을 공식 채택하였고, 신임 이사장 선출을 위한 투표가 진행되었다.
1966.08.19에 공주문화원 주최로 진행될 '학생클럽의 조직과 그 운영의 기술적 방안'에 관한 토론회 초청장이다. 본 토론회는 미 공보원의 후원을 받아 진행될 예정이며, 미국 공보원 학생활동 지도 담당관 허철부 선생과 대학생 클럽대표 2명이 초빙된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원암 관음전에 소장된 시주기에 관한 것이다.
조선조 향촌사회에 관한 논문 목록이다. 국외논문으로 ㄱ~ㅎ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백제문화제 예산전용 및 예산결산 승인건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백제문화선양위원회 위원명단 수록
1955년 공주영명고등학교 신입생에게 발행된 영수증서이다. 입학금 800환 등 수업료, 호국단입단비, 사친회월회비, 시설비 등 상세 명목 상단에 총 일금 구천팔백육십환이 청구되었다. 영명고등학교 구좌에 납입되었다는 것을 공주금융조합에서 증빙하고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자필메모이다. 메모의 제목으로 '낙수(落穗)'라고 쓰고, 공주의 역사문화와 관련된 사항을 기재해 두었다. 낙수란 농사지은 것을 거두어간 뒤 땅에 흘리고 쳐진 나머지 낟알 등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평소 윤여헌 교수가 생각해 왔던 바로잡아야 할…
백제문화제집행위원장이 백제문화제 행사집행에 대한 회의를 최종협의 결정과 관련된 회의소집공문, 백제문화제를 백제문화재로 기재
상여금 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