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 5호분 무덤길의 모습이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식사시간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1961년 제10회 영명중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영명중학교 학생들이 금강물에서 한 줄로 만들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좌측으로 공산성 공북루, 성안마을 민가의 모습이 보인다.
1989년 35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5년 6월 4일 11시에 공주고등학교 강당에서 진행한 공주중·고등학교 제10대 김용환 회장 취임식 관련 사진으로, 정영일 공주중·고등학교 총동창회 공주지부장이 공주중·고등학교 총동창회 임원진과 함께 강당을 걸어나오는 모습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계룡면 한 마을 뒷산이 대규모로 벌목된 현장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중학교 교우회 메달을 촬영하였다. 메달 속 글씨가 좌우반전이 되어 있으며, '공주중학교 교우회, 기념이천육백년'이라고 쓰여있는 것으로 보아 1940년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교우회는
마을 일부는 헐렸는데 아직 이주하지 못한 주민과 아이들의 모습이 그림자로 길게 남았다.
196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2반의 공산성 봄소풍 기념 사진이다. 공북루 옆 부근에서 자연스럽게 포즈를 잡고 촬영하였다. 공북루 안쪽으로 자리한 성안마을 일부 가옥의 지붕이 보인다. 금강교의 트러스트도 눈에 띈다.
수촌리 고분군 2지점 4호 석실분 출토 기대의 모습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셋째날 충청도 설위설경 (25)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8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금강교 아래에서 발을 담그고 사진을 찍고 있다. 금강교는 공주의 등록문화재 제232호이다. 1920년에 배 26척을 묶어 만든 배다리의 보수·유지에 대한 비용문제와 급증한 교통량을 감당하기 위해…
공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충남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연계하여 '온실가스 진단컨설팅'을 실시하여 가정, 학교, 상가 등의 온실가스 감축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사진은 가정을 방문하여, 가정 내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는 장면이다.
일제강점기에 설치된 금학동 소재 배수장의 내부 모습이다. 사진은 2010년에 촬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