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굿당은 대체로 큰 바위를 뒤에 두고 짓는다. 바위 사이로 흐르는 암각수를 용수라고 칭하며, 그곳을 용궁으로 일컫는다. 본 사진은 계룡산 양화리 계룡정사 용궁의 모습이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시농업기술센터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도천리 1-2에 있다.
2002년 5월 29일~30일 양일간 공주고등학교 교정에서 진행된 공주고등학교 제3회 봉황 축제 행사 관련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이 한국, 프랑스 축구 선수 이름을 등에 붙이고 팀을 나누어 운동장에서 축구를 하는 모습이다.
제72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88년 유구국민학교 공작부의 창작모습이다.
1955년 정안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조회에 참여한 재학생과 교직원의 모습이다. 학교 주변의 전답 개간 이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늘날 천안으로 향하는 광폭의 도로가 개통되지 않은 모습이다.
제54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70년 유구면 친목배구대회에 참가한 유구국민학교 교직원들의 경기 모습이다.
2004 고마나루 전통축제 부대행사 탁본체험장
1979년 제34회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귀산국민학교 체육대회의 모습이다. 한복을 입은 학생들의 부채춤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반포국민학교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실습답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재배 중인 작물에 비료를 뿌리거나, 잡초를 제거하고,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등의 일을 하였다.
1971년 제17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6일) 열린 한시백일장의 모습이다.
계룡국민학교에서 1973년 새마을체육대회를 진행한 모습이다. 내빈석에 앉아 학생들의 운동회를 관람하고 있는 선생님들의 모습이다.
계룡산 계곡의 맑은 물이 흐르는 모습이다.
2012 국고개역사문화축제 공주 지게놀이 체험 (9)
공주시 유구읍 추계리에 있는 고간원의 모습이다. 고려시대의 간신 문극겸을 기리기 위하여 '임금에게 옳지 않은 일을 고치도록 충언한 간신'이라는 의미에 '고간원'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진 사우이다.
대교교회에서 야외예배를 드리려고 근교로 나온 사진이다. 다수의 목회자나 교인이 함께하였으나 구체적으로 파악은 어렵다.
현재는 공주꿈의교회인 공주침례교회가 산성동에 지은 교회의 전경 모습이다. 뾰족한 첨탑이 눈에 띄며, 교회 앞 마당으로 화분들이 늘어서 있고 전반적으로 이국적인 교회의 모습으로 지어졌다. 지붕 밑에 공주 침례교회라고 간판이 붙어있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계룡국민학교 제52회 졸업앨범에 실린 새마을체육대회 사진이다. 운동장에서 반별로 학생들이 모여있으며, 맨 앞에서 하얀 깃발을 들고 서 있는 학생들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