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전체 10588건
제1장 공주문화의 배경
Ⅰ. 문화지리로 본 공수 / 이문종
1. 머리말 = 19
2. 공주, 어떻게 인식돼 왔는가 = 20
3. 금강과 공주 = 23
4. 계봉산과 공주 = 29
3. 맺음말 = 36
Ⅱ. 공주의 행정연혁과…
1987년 공주군 일원에서 열린 제33회 백제문화제 중 왕비·공주뽑기 대회에 대한 소책자이다. 표지는 컬러, 내지는 흑백 인쇄되어 있으며, 20페이지 분량이다. 공주중동로터리 특설무대에서 시행된 제33회 백제문화제 왕비·공주 뽑기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상반사진과 번호,…
감사의 글 = 4
책을 내면서 = 8
제1부 문화 이야기
봄볕이 내리는 곰나루 = 19
공산성은 슬프려고 태어났는가 = 25
고도 보존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 32
공주 구도심 매력 만들기 = 40
문화는 예술을 만나야 꽃이 핀다 = 49
1998년 공주대학교에서 신학기를 맞아 학교와 대전, 천안 지역을 오가는 통학버스 운행을 안내하는 공주대신문 게재문이다.
Ⅰ. 머리말
Ⅱ. 漆刹甲 出土 遺蹟內容
Ⅲ. 漆刹甲과 銘文
Ⅳ. 갑옷과 銘文의 意味
Ⅴ. 맺음말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6_06_23_v0004_0890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의 주요 소재인 야투의 발자취를 담은 소책자이다.
1954.12.16, 공주문화원의 개원을 기념하여 진행한 축하공연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팜플렛이다. 행사 식순과 함께 공연 프로그램이 수록되어있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8_06_17_v0004_093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3_01_12_v0004_089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6_07_21_w0002_0320
2012년 반포초등학교 제89회 졸업기념앨범이다. 반포초등학교는 반포면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로, 1921년 반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하였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상신, 마암, 학봉분교장을 두었으나 상신, 마암분교장은…
덕천군 이후생의 7세손 이시익(李時翊)부터 19세손까지 기록된 족보이다. 서문으로서 덕천군부터 참판공까지의 내력이 첨부되어 있다. 전주이씨 안풍대군파 이공권(李公權)이 써서 공주에 있는 남성사(南星社)에서 인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