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공주시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위원장인사말과 취지문, 식순, 행사일정표와 각 행사별 사진자료 및 설명문, 문화제 일람표, 공주 관광안내지도와 사진자료를 수록함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1주년 기념집 - 곰나라조 작품내용(곰나공산성 금서루의 역사)
1963년 4월 기증자 부친이 장기면에 납부한 취득세와 동부가세에 관한 납부 영수증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충청남도공주군태화산마곡사대웅보전삼존불상개금중수기'에 관한 것이다. 대웅보전에 봉안된 삼존불상은 마곡사 창건 초기인 1280년 전부터 존재했는데, 세월의 흐름으로 금의가 탈락했다. 이에 1913년 1세 주지 장보명 화상이…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 지원하는 입학생들을 위한 일문일답의 내용이다. 오늘날 Q&A와 같은 입학지원 안내용지로 볼 수 있다.
단기 4285년(1952), 대한민국정부가 발행한 금일백원의 국책보조권 10건 1세트이다. 앞면에는 액면가, 후면에는 상환시기, 이자 등의 유의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이 자료는 1993년 우윤이 집필하고 창작과비평사에서 발행한 도서의 일부분을 복사한 것이다. 윤여헌 교수의 친필메모로 책의 제목과 발행사, 년도가 적혀있다. 동학농민운동의 시간적 흐름과 그 속에서의 전봉준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11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이름을…
2000년 4월 20일 충청남도테니스협회가 주최한 제21회 충청남도지사기 테니스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가 남자고등부 2위를 차지하여 받은 상장이다.
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특수, 우편물수령증
1953년 공주경찰서 어린이학교에서 발행한 수료증이다. 수료증에 의하면, 1953년 8월 5일부터 4일간 실시한 학업을 수료하여 이를 증명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증서를 수여한 것은 공주경찰서 총장의 명의이다.
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기록한 노도양(盧道陽)의 주류성 학설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두릉윤성과 주류성은 동일한데 당식으로 표기하여 주류가 된다.
소재: 삼국사기 권37 지리지: 백제조
일설에는 열이현을 두릉윤성, 두곶성, 윤성이라…
국립사범대학장 협의회 명의 의견 제출에 관한건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도서목록이다.
1991년 제3회 시민체육대회에서 공주공주금학국민학교가 육상(400m)부문 3위를 기록하여 수여받은 상장이다.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