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6 계룡산 산신제 무가식산신제 (39)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공산성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본 자료는 쌍수정에서 촬영한 것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3년 6월 4일 촬영된 주말학습농장 전경이다. 공주시농천지도소에서 운영하는 주말학습농장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첫째날 승무작법 (35)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3년 무령왕릉 발굴 이후 발간한 발굴조사 보고서에 수록된 무령왕 금제관식 사진이다.
2006 계룡산 산신제 불가식제례 (8)
공주사대부고 의 충청감영 재현공사로 학교입구의 변화가 크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상서리1구 새마을회관 건물의 안내판에 부착되어 있는 우성지소 안내문
1991년 06/13~06/16 동안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정보통신 설명회와 현대 컴퓨터 전시회 모습이다.
1975년 공주문화원에서 미국 공보국의 후원을 받아 미국사진작가 Wynn Bullock이 1951~1962년까지 촬영한 사진 25점과 Margaret Evans가 촬영한 작품 60여점에 대한 사진전시회의 모습이다.
2020년 08월에 진행될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리모델링 공사를 앞두고 행정실에서 기록한 3층의 학과사무실이 위치한 곳의 복도이다. 중어중문학과와 법학연구소 앞의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복도에 각 학과의 게시판과 도서배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내 향토유적인 병암서사지에 관한 기초조사 원본 필름이다.
2008 제54회 백제문화제 농공 특산물 전시축제한마당 (9) - 묘기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