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박물류
전체 859건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2-078
공주고등보통학교 공사와 관련된 기초도면으로 보인다. (축척 백분 및 이십분지일)
학교에서 공문, 교지, 안내장 등을 제작할 때 사용한 끝이 뾰족한 쇠로 된 등사용 필기도구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복사기가 보급되기 이전에 종이를 등사용 철판 위에 높고 철필로 글어 글자를 쓴 다음, 틀에 붙이고 잉크를 묻힌 롤러로 눌러 인쇄하였다. 철필과 함께 사용하는…
2015년 5월 12일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을 기념 토론회를 알리는 현수막이다. 토론회는 '공주학의 미래를 말한다'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1914년 측량하여 1928년 2회 수정측량한 지도로 가제판이다.
공주여사범학교 특별교실 중 하나로 보여지는 가사작법실에 대한 신축 설계도이다. 해당 교실에 대한 상세한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1939년(소화 13년) 4월에 측량하고 제작한 중 일람도 2면의 내용이다. 1만 2천분의 1 축척으로 제작되었다.
공주시청 관광축제팀에서 사용했던 우편봉투이다.
공주여사범학교 특별교실 내부에 위치한 복도에 대한 설계도로 추정된다.
공주여사범학교에 부속한 국민학교 공작실 증축과 관련된 배치도이다. 해당 자료를 통해 당시 공작실이 학교의 어느 지점에 위치했는지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축척 20분및 300분지 1)
192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이정전도이다.
1998.04.21부터 운행을 개시하는 부여-공주-인천 간 시외버스의 운행시간표를 수록한 명함크기의 자료이다. 당시 삼흥고속과 금남고속에서 해당 노선을 공동으로 배차했다. 나아가 모바일 기기의 발전이 미비한 시절 지갑 속에 넣고다니며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버스시간표의…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군청 및 각 지역 간 이정표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공주에서 대전까지는 9.31리이고, 부여까지는 8.14리로 표시되어있다.
공주여사범학교 기숙사 증축에 관한 전반적인 상세도면이다. 해당 도면을 통해 기숙사 건축에 대한 상세한 수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2-057
공주여사범학교의 교실 및 기타특별실의 수리공사에 관한 도면으로 추정된다. 해당 도면을 통해 어떤 교실인지에 대한 정보파악은 난해하다.
본 지도는 1926년에 제작된 공주 도심 지도로 현대적 개념의 축척이 적용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당시 도심에 위치한 상점의 위치와 전화번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8-007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2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