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연도미상의 공주문화자원표이다. 표에서는 공주문화자원을 크게 경관적/전통문화/근대문화/경제적/문화적/무형자원으로 나누었으며, 주요 요소는 하부 유형, 자원명, 소재지, 비고 사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공주군 장기면 제천리 새마을 창고의 양곡이 나가고 들어오는 것을 기록한 장부이다. 1974~1977년까지의 양곡보관 불출내역과 보관료 수령 내영이 기재되어 있고, 양곡보관증도 함께 붙어 있다. 내지 마지막 장에는 새마을 창고 결산서 및 건물 소재지가 기록되이 있다.…
문화의 달을 맞이하여 공주문화원에서 주최한 문화강좌에 참여한 인원 명단이다.
이인보통학교에서 발급한 졸업증서이다. '보통학교 4개년 수업연한의 전교과를 졸업하였음을 증명한다'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고, 해당 학생의 이름과 생년월일, 졸업증서 발급 날짜, 당시 이인보통학교 교장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1993년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 중등교원연수원 운영에 관한 문서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993 연수 계획 개항
1993 연수 과정, 인원, 시기
1993 각 시도 교육청별 연수 위탁 현황(예정)
1993 교육과정 시간배정
1993 연수일정
1993 연수…
1953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제1기분 부가세 영수증으로, 일금 육십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부가세 외에 조세 비목을 적는 란에는 '군경원호금'이라고 추가로 작성한 내용이 있다.
2004년 3월 1일자로 공주시 대룡초등학교 교장으로 근무할 것을 임명하는 내용의 발령통지서이다.
1951년 반포국민학교 제5학년 서민식 학생의 성적통지표이다. 겉면에는 연도와 학년, 아동성명이 적혀있고, 내지에는 학기별 성적이 100점 기준으로 숫자로 매겨져 있다. 출석현황과 신체현황 등을 적을 수 있는 란도 있다. 성적통지표 뒷장은 학년 수료증으로 사용되었다.
2007.11.23.자 조선일보 신문 일부 복사본이다. '故 이방자 여사의 외조카 이케노보 야스코씨 방한'이라는 기사 소제목으로 '일본문화의 뿌리인 백제문화 배우러 왔어요'라고 기사 대제목이 쓰여 있다. 그녀는 당시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의 초청으로 공주와 부여를 찾았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충청남도공주군태화산마곡사대웅보전삼존불상개금중수기'에 관한 것이다. 대웅보전에 봉안된 삼존불상은 마곡사 창건 초기인 1280년 전부터 존재했는데, 세월의 흐름으로 금의가 탈락했다. 이에 1913년 1세 주지 장보명 화상이…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 건축을 진행했다. 본 자료는 1966.03.08 기준 공주읍 내에서 진행한 수금-미수금 내역서이다.
연도미상 및 저자 미상의 무령왕 관련 원고이며, 일부 교정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원고에 수록된 내용은 1.무령왕 그는 누구인가? 2.무령왕은 누구의 아들인가? 3.무령왕의 출생지는 어디인가? 4.무령왕의 즉위무렵 정세 5.치아와 지석을 통해 본 왕비의 생애…
남궁화가 1993년부터 1996년 9월 27일까지 쓴 가계부이다. 1993년 체신부에서 제작한 일지를 가계부로 사용하였으며, 표지에는 '취락재 수지기록(聚樂齋 收支記錄)'이라 씌여 있다. 또한 후반부에는 매덕논 도조수입내역과 1994년부터 1996년까지 개 4마리를…
1953년 군수명의로 발의된 잠견출하통지서이다. 문서에 의하면 정부에서는 생계유출을 적극추진함으로서 농가에 필요한 비료, 식량,의류원료, 의료기구를 유입하여 국가경제향상에 기여되는 점이 커 양잠농가로서 관심을 달리하시고 국가시책에 순응하시어 각 농가에서 애육하신 잠견을…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1983년 문교부 장관 명의로 발행된 교원자격증이다. 관련교육법의 자격기준에 의하여 중등학교 1급 정교사의 자격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 증서를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충청남도 교육위원회 교육감이 분교부 장관의 권한을 위임받아 직인을 찍었으며 검정종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