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전체 10588건
1996년 문학의 해를 맞아 발간된 의 자료집이다. 이 행사는 1996년 6월 8일 오전 10시부터 계룡문화회관에서 한국문협 충청남도지회 주최와 충청남도의 후원으로 이루어 졌다. 이 행사는 구중회 공주대 교수의 사회 아래, 시인 김송배가 , 구수경 건양 교수가 이라는…
1965년 9월 23일 동아일보에서 발행한 호외 신문이다.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의 갈등과 전면전 상황에 대해 호외로 보도하였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1_07_25_v0004_0590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윤용혁의 글이다. 목차는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와 '만아루(挽阿樓)'이다.
2017년 백제세계유산센터에서 발행한 유네스코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에 관한 책자이다.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지난 5년 간의 성장과정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나아갈 바를 밝히기 위해 발행한 공주학 창간호이다.
2018년 국립공주대학교 창조문화 트랜스형 지역인재 양성사업단의 지원을 통해 개발한 문화재보존과학과의 교재로 백제유적과 콘텐츠 개발에 관한 내용을 담고있다.
I. 서론
II. 소년비행의 실태분석
III. 인간화를 위한 학교교육의 과제
IV. 소년비행의 지도방안
V. 결론 및 제언
충청감사를 지내었던 서경 유 근 선생의 문집이다. 제본 소유자였던 월당 선생께서 공주와 유관한 내용에는 부호를 표시하였으니 참조 요망.
2020년 발행된 수촌리고분군 7, 8차 발굴조사 보고서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조사개요/ 2. 조사지역의 환경/ 3. 조사경과/ 4. 조사내용/ 5. 고찰/ 6. 맺음말/ 7. 부록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있음
1부 백제문화제의 이해
1장 역사축제로서의 백제문화제 / 유기준
1. 세계 유명축제의 뿌리는 전통문화이다 = 11
2. 한국 축제문화의 흐름과 성격 = 12
3. 차별화된 역사축제로의 백제문화제 = 16
4. 세계의 역사축제 사례 =…
국립공주병원 개원 2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한 책이다
2008.9.26.~27. 개최, 장소는 공주대학교 대학본부 3층 대회의실이다. 조선시대 감영문화의 성격 일별과 문화자원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학술회의이다. 일정표와 지도가 삽입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