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공주시에서 1996년 간행한 '민선시정 1년과 공주의 미래상' 자료집이다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現 충남역사박물관) 앞 정원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자세를 취한 재학생 뒤로 선화당 건물을 확인할 수 있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5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백제낭자 그네뛰기대회의 모습이다.
2001.06.04.~06.05. 개최된 공주고등학교 제2회 봉황 축제 사진으로, 운동장의 교단에서 연설을 하고 있는 교사와 이를 듣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을 촬영하였다. 교단 옆으로는 학생관현악단이 대기를 하고있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체험 (1)
계룡산에 위치한 숫용추 전경이다. 용추란 폭포가 떨어지는 바로 밑의 웅덩이로 용소라고도 불리는데, 숫용이 하늘로 올라간 자리라 하여 숫용추라고 부른다. 계룡산 남쪽계곡에 자리잡고 있다.
계룡국민학교에서 1973년 새마을체육대회를 진행한 모습이다. 학생들이 반대항 줄다리기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선생님들이 돌아다니며 감독하고 있으며, 교내 운동기구에 올라 열띤 경기를 관람하고 있는 학생들도 보인다.
관골의 변화⑧ 이후의 집들은 철거되었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우금티순국영령추모예술제에서 공주의 관내 중학생들이 공주교대에서 우금티까지 자전거를 타고 행렬하는 행사이다.
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현수막을 배경으로 윤여헌 교수가 건배하는 사진이다.
1954년 공주문화원 준공식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뒤쪽으로 내빈들의 모습이 보인다.
1989년 유구면의 별미식당에서 열린 어려운집돕기 자매결연식이다. '우리마을 어려운 집 돕기 자매 결연'이라는 취지로 유구면내의 각 리별로 어려운 집을 1가구씩 선발하여 유관 기관 및 기업주와 자매결연을 추진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제도이다.
1959년 공주문화원에서 주관하여 진행한 4H클럽의 교육활동 모습이다. 당시 4H클럽은 학생이 중심된 활동이었음에도 공주시민의 참여도 가능했다. 해당 클럽은 본 자료와 같이 공주문화원 내에서 진행한 교육활동과 더불어 김장실습이나 된장담그기 증 다양한 실습도 병행했다.…
1969년 제47회 계룡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려 있는 6학년 1반 학생들과 담임선생님의 모습이다. 학교 건물을 배경으로 촬영하였다.
공주고등학교의 1978년 사진첩의 사진 중 하나로, 1978.04.05.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이 도로변의 꽃길을 조성하기 위해 작업하는 모습이다.
1982년에 촬영된 정안국민학교 교사 전경사진이다. 정안초등학교는 1922년 5월 23일에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이후 정안공립심상소학교와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정안초등학교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37년에 학생 수가 증가하여 문천간이학교가 개교하였는데,…
1988년 3월 KBS 공주방송국에서 진행한 공주지역개발심포지엄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