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65년 제43회 계룡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가을운동회 사진으로, 계룡국민학교 교기를 들고 선수들이 위풍당당하게 운동장을 행진하고 있다.
1995년 4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본 자료 기증자의 가족 분 중 농고입학을 기념한 단체사진이다.
1974년 체육교육과 학생의 졸업사진이다. 학생들 뒤로 옛 충남도청 평의장의 모습이 보인다.
1918년 공주금융조합이 신설된 것과 동시에 도 단위로 엮어 관리에 용이한 충남금융조합연합회가 만들어지게 되었고, 현재 공주역사영상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읍사무소 건물을 사용하였다. 서양식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행군을 기념하면서 마곡사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7년 월가국민학교 내의 부지에 공원을 조성하는 모습이다. 멀리 '무궁화동산 교재원'이라는 검은 팻말이 보이기도 한다.
2008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가요제 - 심사위원 (1)
2006 계룡산 산신제 무가식산신제 감사패 전달 기념 촬영 (2)
1977년 공주금학국민학교와 마곡국민학교 여자정구부가 공주대표로 도대회에 출전하여 우승하였다. 공주금학국민학교 선수들이 우승기를 들고 근화유치원 부근을 지나가고 있다.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학교 뒷산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시대 도공들과 이삼평이 자기를 구워왔던 가마터이다. 현재 계단시 가마터로 재현해 놓은 모습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초려 이유태 유고 및 유물이다. 초려이유태유고는 1988년 8월 30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02호로 지정되었다. 초려이유태유물은 1984년 1월 11일에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5호로…
1980년 공주문화원에서 열린 공예품 전시회의 모습이다.
1965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국립박물관 공주분원(현재의 충남역사박물관) 입구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1971년 제17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의 모습이다. 사진 속 행렬단은 행진하는 백제호를 표현하였다. 행렬단 뒤로 보이는 '문화재를 사랑하자'라는 플랜카드를 통해 같은 해 발굴된 무령왕릉과 그 출토 유물로 인해 공주에서 백제역사,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음을 엿볼 수…